메뉴 건너뛰기

XE : Xpress Engine




웹디자인 강의

p1.gif
컴포넌트 패널에서 ProgressBar를 꺼내서 스테이지 위로 드래그합니다.
p2.gif
ProgressBar 컴포넌트의 웅장한 위용(-_-);;;
p3.gif
프로퍼티 창에서 빨간 테두리 처럼 설정합니다.
p4.gif
타임라인을 잘 보세요, 로딩 레이어에 ProgressBar 컴포넌트가 있고,
액션 레이어가 총 3프레임입니다.
1프레임과 3프레임에 다음 처럼 기술하세요.

1프레임==================================
bytesTotal=this.getBytesTotal();//무비의 전체 크기를 조사해서 bytesTotal변수에 담습니다.
=========================================

3프레임==================================
bytesLoaded=this.BytesLoaded();//현재까지 로드된 크기를 조사해서 bytesLoaded변수에 담습니다.
this.pBar.setProgress(this.bytesLoaded,this.bytesTotal);//_root 아래의 pBar 에 setProgress 메소드를 호출합니다.그러면 setProgress메소드가 ProgressBar 컴포넌트의 막대기 크기를 조절해서 프리로더처럼 보이게 해줍니다.
if (this.pBar.percentComplete<100) {//만약 로드된 퍼센티지가 100보다 작으면,
        this.gotoAndPlay(_currentframe-1);//1프레임 앞으로 돌아가 모두 로드될때까지 무한 반복합니다.
}
//그리고 이 이후에 로드가 다 됬으니까 이후 처리 코드를 쓰시면 됩니다.
=========================================

소스 다운받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강좌를 올리기전 공지사항을 읽어주세요 [12] Eccen 2004.12.15 48028
171 [초급]태양만들기 [16] file 안상수 2004.07.20 11277
170 [쇼핑몰응용] 쇼핑몰 메인에서 사용가능한 플래쉬 입니다. [13] yo 2004.07.23 26687
» [초보]MX2004 ProgressBar 컴포넌트 - MX의 프리로더를 원터치로! [4] file 엔젤퀸 2004.08.29 8974
168 Flax 에서 한글 폰트 깨지시는 분 과 swf -> fla 로 바꾸는 법 2 [9] 주영남 2004.09.12 14425
167 플래시MX UI Components : combobox, checkbox, pushbutton [4] file 현경 2004.10.06 5314
166 플래시 MX 2005 임박.... 그리고.. [8] Fc 2004.12.23 8638
165 Flash->Motion Design용 Loop Source 만들기 덴디 2004.12.25 3612
164 Flash->Motion Design용 Loop Source 만들기 2 덴디 2004.12.26 6064
163 부드럽게이동하는 공식을 이용한 바네이 메뉴 만들기(1) 비무p 2005.01.12 10274
162 부드럽게이동하는 공식을 이용한 바네이메뉴 만들기(2) 비무p 2005.01.12 4839
161 부드럽게이동하는공식을 이용한 바네이메뉴 만들기(3[완결]) [3] 비무p 2005.01.12 10824
160 조건문 이해하기 비무p 2005.01.12 3308
159 재미없는 수학이론 이용한 평면상의 거리 구하기 [3] 비무p 2005.01.12 4298
158 슬라이딩 배너 만들기 [23] file 여어자 2005.01.12 20490
157 많이 사용되는 메뉴에요. [9] file 여어자 2005.01.13 23541
156 많이 사용되는 메뉴 이용하여, 서브메뉴 만들기 [3] file 여어자 2005.01.14 18697
155 스크롤 이미지 [7] file 여어자 2005.01.15 16756
154 스크롤 이미지 이용한 예제 file 여어자 2005.01.16 13367
153 간단한 네비게이션 액션 [7] file totomylove 2005.02.06 9406
152 부드럽게 움직이는 효과를 이용한 마스크효과 [4] file totomylove 2005.02.06 14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