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공식 자료실

XE 코어 XE Core ver. 1.8.0

제작자
XE
등록일
2015-04-08
다운로드 수
8,122
링크1
www.xpressengine.com
링크2
xpressengine/xe-core

XpressEngine의 설치부터 운영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내용이 있는 Core 배포판입니다. XpressEngine의 모든 프로그램/스킨등은 XpressEngine Core가 있어야 합니다.

라이선스
LGPL v2
설치경로
.
최초 등록일
2009-09-24
전체 다운로드
2,393,868
체험하기

쉬운설치로 바로 체험할 수 있습니다

상세 설명

XpressEngine Core 1.8.0 버전을 배포합니다.

XE 1.8.0은 PHP 5.3 이상의 환경에서 동작하며, PHP 5.5 이상의 최신 안정 버전을 권장합니다.
참고 : XE Core 1.8의 PHP 지원 버전 변경 안내

 

알려진 문제

1. 문서페이지, 위젯페이지에서 이미지 업로드 시 잘못된 경로로 표시되는 문제

파일 업로드 시 잘못된 경로를 사용하는 문제가 보고되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하여 'common/js/plugins/jquery.fileupload/js/main.js' 파일을 수정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파일 업로드 시 잘못된 경로가 사용되는 문제 수정

 

 

Core 업데이트 주의 사항

  • 실 사이트에 적용하시기 전에 실 사이트와 유사한 환경을 갖추고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시길 권고합니다.
  • 업데이트 전 관리자 로그인 상태로 관리페이지를 열어두시고 진행하시길 권고합니다.
  • 업데이트 후 대시보드에서 각 모듈의 DB 생성 및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세요.
    • 업데이트 순서는 'menu > module > 기타 모듈'순서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업데이트 후 관리페이지 우측 하단의 캐시파일 재생성으로 cache를 갱신하셔야 합니다.
  • 1.4 및 1.5 버전에서 업데이트하는 경우 데이터 양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서버 환경에 따라 업데이트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문서를 참고하여 데이터 백업 후 진행하시길 권고합니다.

문제 발견 시 알려주세요

이 테스트 버전에서 발견된 문제는 XE Core 프로젝트 페이지에 이슈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분들이 공헌해주셨습니다

XE는 자유소프트웨어로서 공개 프로젝트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XE Core 프로젝트 페이지에서 버그 보고 및 개선 제안과 개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변경 내역

XEIcon 추가

를 통해 공개한 XEIcon이 많은 개선과 새로운 아이콘을 추가하여 XEIcon 1.0.4 버전을 내놓았습니다.

개선된 XEIcon은 XE Core에 정식 내장되어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 목록 및 설치 방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XE에서 XEIcon 사용하기

다음과 같이 xeicon.min.css파일을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사용 예시

 XE Official Site

새로운 디자인

XE 1.8에는 새로운 레이아웃과 게시판 스킨, 메시지 스킨이 추가되었고 기본 적용되어 새로운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레이아웃과 게시판 스킨, 메시지 스킨에서 'XEDITON'을 선택하세요.

새로운 에디터

글 또는 댓글 작성 등에 사용하는 에디터에 CKEditor를 추가했습니다.

이 CKEditor은 기본 에디터로 사용되며, 기존에 사용하던 XpressEditor 또한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IE11 등 최신 브라우저 호환성 개선을 목표로 하였고, 이 변경으로 인해 에디터 자체의 기능 또한 한층 향상되었습니다.

파일 업로드 기능 개선

Flash를 이용하여 다중 업로드 기능을 제공해왔으나, 브라우저 또는 서버 호환성 문제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습니다.

최신 브라우저에서 호환성을 개선하고 파일 끌어 놓기 등으로 좀 더 편리하게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보안성 강화

MD5로 저장하던 비밀번호를 좀 더 강력한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개선했습니다.

회원의 비밀번호 외에도 파일 다운로드 시 인증과 비밀번호 찾기 등 임시 비밀번호를 발급하는 과정 등 보안성 개선이 필요한 곳에 적용되었습니다.

@kijin (XE 공식사이트 : 기진곰)님께서 공헌해주셨습니다.

이슈 보기에서 이 개선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E 1.8 체험하기

XE Demo에서 XE 1.8을 미리 체험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설치 상태 그대로의 모습으로 최고관리자 권한을 이용해 쉬운설치 및 XE 1.8의 모든 기능을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XE 1.7.13 버전을 사용 중이신 경우 변경된 파일(파일명에 'changed'가 포함된 파일)만 내려 받아 업데이트 할 수도 있습니다.

 

 

변경 내역

Security

  • #1315 메일 인증 및 비밀번호 찾기에서 새 비밀번호 및 인증키 보안성 개선 @bnu @kijin
  • #1316 #1315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랜덤 비밀번호 생성 기능 @kijin
  • #1317 문서, 댓글, 파일 모듈에서 Password 클래스를 활용하도록 변경 @kijin
  • #894 회원 비밀번호 암호화 방법 개선 @kijin

New Feature

Defect

  • #1142 게시판 : 정렬을 사용자 정의 값으로할 때 설정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 고침 @sejin7940
  • #1143 게시판 : 사용자 정의 기준 정렬과 사용자 정의 검색이 동시에 동작하지 않던 문제 고침 @sejin7940
  • #1215 댓글 : 휴지통에 들어 있는 댓글을 삭제할 수 없는 문제 고침 @izuzero
  • #1221 문서 : 줄바꿈 되어 있는 게시물 요약본을 일부만 가져오는 문제 고침 @sejin7940
  • #1225 회원 : 비밀번호 수정 시 비밀번호 보안 수준을 통과하지 못했는데도 비밀번호 변경일이 바뀌는 문제 고침 @jdssem
  • #1248 회원 : 포인트 설정 저장 시 포인트 그룹에 레벨1로 항상 설정되는 문제 고침 @mog422
  • #1229 회원 : 쪽지보내기 등 페이지가 모바일 스킨으로 안 나오는 문제 고침 @sejin7940
  • #1274 회원 : PC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생일 삭제 버튼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 고침  @misol
  • #1338 쪽지 : 쪽지 내용이 길면 발송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 고침 @YJSoft
  • #1282 설치 시 session.auto_start 설정을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 고침 @YJSoft
  • #1244 회원 : 회원정보 수정 등 비밀번호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 고침 @YJSoft

Enhancement

  • #1034 회원 : 쪽지 보내기 창에서 수신자의 아이콘 및 회원 메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sejin7940
  • #1120 한글-유니코드 도메인 지원 개선 @misol
  • #1181 #1120 한글 도메인 지원 시 IE9 이하 브라우저 호환성 개선 @bnu
  • #1160 게시판 : 회원정보에서 비공개인 항목은 검색할 수 없도록 개선 @zfanta
  • #1269 포인트 : 포인트 모듈을 비활성화 할 수 있는 설정 추가  @misol
  • #1335 관리 : 스패머 관리를 사용할 때 작업이 완료 됐는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정  @izuzero
  • #1341 관리 : 휴지통 목록에서 IP주소를 글 작성자의 정보로 표시하도록 변경 @bnu
  • #1352 에디터 : XpressEditor에서 컴포넌트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수정 @YJSoft
  • #1357 에디터 : CKEditor 한국어 번역 개선  @misol
  • #603 관리 : 사이트맵 목록에서 사이트맵의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선 @akasima
  • #998 관리 : 휴지통 목록에서 문서를 쓴 글쓴이 정보를 나타내도록 개선 @sejin7940
  • #1117 포인트 : 레벨 포인트 입력 칸의 너비를 조정  @YJSoft

For Developers

  • #1140 추천, 비추천 시 증가된 추천 수, 비추천 수를 반환하도록 개선 @sejin7940
    • documentController::procDocumentVoteUp()
    • documentController::procDocumentVoteDown()
  • #1222 documentController::declaredDocument()에서 신고 수를 반환하도록 개선  @sejin7940
  • #1265 Trigger 목록을 가져오지 못할 수 있는 문제 고침 @izuzero
  • #1266 DB Column 생성 시 0을 기본 값으로 지정할 수 없는 문제 고침 @izuzero
  • #1289 DisplayHandler 실행 전에 content가 출력될 경우 gzip 인코딩 문제 고침  @kijin
  • #1290 외부 리소스를 로드할 때 URL Schema를 생략할 수 있도록 개선 @kijin
    • ex) 
  • #1332 모바일 레이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CSS class 추가  @bnu
    • html.xe-mobilelayout
  • #1333 clearfix CSS class 추가  @bnu
    • .xe-clearfix
  • #703 executeQuery()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DB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추가  @soonjae

Etc

  • #1297 memberController::updateMemberPassword()의 $output 정보가 될 부분의 중복된 세미콜론 제거  @qw5414
  • #1329 Fix grammar  @yous
    • README.md, CONTRIBUTING.md
  • #1254 이메일 주소로 계정 찾기 인증 후 일본어 메시지 문구 개선 @dorami

 

 

 

포럼 5

로그인 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2015-04-10 13:10:38 배워서남준다

    어제 XE 1.8 버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제 웹호스팅이 PHP 5.3 버전이고, FTP로 풀버전 업로드 하였습니다.
    다른건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데,
    제가 업무용으로 개발해서 사용하는 모듈의 레코드 하나가 삭제되었습니다.
    가입 신청서 모듈만들어서 회원과 그룹관리, 그리고 여러 신청서 처리 목적으로 만든것인데
    등록된 4개의 모듈 목록중에서 자주 사용하는 1개가 지워졌습니다.
    모듈 페이지 접속할때 _getContent method is not exists 라는 에러메세지 후 해당 모듈이 삭제되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신청서 모듈인데 1.8버전에서 문제가 있나보네요.
    1.7버전에선 잘 사용했었는데...

    처음엔 실수로 메뉴 지웠는줄 알고 호스팅사에 DB복구 신청했었는데, 1.8버전에서 무언가 오류가 있나봅니다.
    어디서부터 점검해 봐야할지 난감하네요.

    혹시 저와 비슷한 경우 있는분 계신지...?

  • 2015-04-09 19:54:39 I-JEX

    XEDITION 레이아웃 슬라이드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메인 페이지 데모 기능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하고 슬라이드 이미지를 추가하면,
    첫번째 슬라이드 이미지가 중복되어 나타나고 텍스트 없음으로 설정됩니다.

    ex) 슬라이드 이미지 3번까지 업로드 후 적용 -> 총 4개의 슬라이드가 실행됨
    첫번째 슬라이드 이미지와 두번째 슬라이드 이미지는 같은 이미지로 설정되어 있으며 첫번째 슬라이드의 텍스트는 '설정되지 않음' 으로 표시

  • 2015-04-09 13:19:40 제작자 XE

    @하얀마법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주소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또는 developers@xpressengine.com 으로 알려주세요)

  • 2015-04-09 01:07:18 하얀마법

    에러 내용은
    http://./common/js/plugins/ckeditor/ckeditor/ckeditor.js?20150409031415 Failed to load resource: the server responded with a status of 500 (Internal Server Error)

    입니다.

  • 2015-04-09 01:06:13 하얀마법

    https://code.google.com/p/minify/

    minify 2.1.7 버전과 사용중에는 500 internal error 가 나면서 CKeditor 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minify를 죽이면 사용 가능한데 속도 때문에 호환문제가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