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첨부파일은 제홈의 설치이야기에서 받아가세요.
질문은 메일로 안 받습니다. 홈의 질답게시판에서 해주세요.
비츠로 홈 - http://vitro.pe.kr

qmail-1.03설치⑦ (qmailadmin 큐메일 웹관리툴)  

먼저 qmailadmin의 프리뷰를 보고픈 유저는
내 홈 왼쪽 젤 위쪽의 메인 로그 아래에 보면 dv라고 써있는
영화 레디~ 컷할때 쓰는 판때기 이미지를 클릭하면 관리 메뉴라고 적혔다.
그것을 클릭하고 오른쪽에 메일 관리를 클릭하면 볼수가 있다.

vpop을 설치한 환경에서 나중에 유저를 관리하거나
도메인을 관리하기 위해서 시스템으로 로그인해서 일일이 컴맨드를
쳐서 관리를 한다는건 상당히 귀찮고 불편한 일이다.
웹페이로 관리 화면에 접속해서 관리를 한다면 상당히 편할것이다.
그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qmailadmin이다.

웹페이지를 띄우기 위해 자신의 시스템에 apache가 당근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설치 순서는 우선 qmail을 다 설치하고 courier-imap을 설치하고
스팸 필터를 위한 qmail-scaner를 설치하고 나서 APM설치한뒤에
qmailadmin이런 순으로 설치하면 되겠다.

나중에 아파치를 설치를 위한 설정은 뒤에 qmail에 관련된 모듈을 끝나고 할것이다.
먼저 아파치 설치를 하고 나서 qmailadmin을 설치해도 되고,
먼저 아파치 설치전에 qmailadmin을 설치하고 나서 아파치 설치하고 난뒤
아파치에서 cgi실행할수 있게 qmailadmin이 설치된 디렉토리만 지정해줘도 된다.

qmailadmin을 설치하기 위해선 ezmlm과 autorespond 라는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ezmlm은 메일링 리스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고 ezmlm-idx는 ezmlm의 버그 패치이다.
autorespond는 메일의 자동 응답을 해줄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들이다.
qmailadmin이 이 프로그램들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qmailadmin이
qmail, ezmlm과 autorespond 모두를 관리하기 때문이다.
어느것 하나만 따로 관리하는것은 안되는듯하다.

필요한 소스들을 다운 받는다.

qmailadmin-1.0.6을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는다.
http://www.inter7.com/qmailadmin/qmailadmin-1.0.6.tar.gz

ezmlm-0.53.tar.gz을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는다.
http://cr.yp.to/software/ezmlm-0.53.tar.gz

ezmlm-idx-0.40.tar.gz을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는다.
http://gd.tuwien.ac.at/infosys/mail/qmail/ezmlm-patches/ezmlm-idx-0.40.tar.gz

autorespond-2.0.2.tar.gz를 아래 주소에서 다운 받는다.
http://www.inter7.com/devel/autorespond-2.0.2.tar.gz

일단 소스들을 압축해제하고 보자.
tar zxfp qmailadmin-1.0.6.tar.gz -C /var/tmp
tar zxfp ezmlm-idx-0.40.tar.gz -C /var/tmp
tar zxfp ezmlm-0.53.tar.gz -C /var/tmp
tar zxfp autorespond-2.0.2.tar.gz -C /var/tmp

echo "###############################"
echo "#####    ezmlm install    #####"
echo "###############################"

ezmlm을 먼저 설치할것이다. 그전에 버그 패치부터 한다.

cd /var/tmp
mv -f ezmlm-idx-0.xx/* ezmlm-0.53/
cd /var/tmp/ezmlm-0.53
patch < idx.patch

컴파일 옵션을 설정(기본은 /usr/local이나 /usr/로 맞추기위해)
conf-bin파일을 지우고 새로 작성하기 위해 아래 작업을 수행
echo "/usr/bin/ezmlm

Programs will be installed in this directory." > conf-bin
conf-man파일을 지우고 새로 작성하기 위해 아래 작업을 수행(man페이지 경로설정)
echo "/usr/share/man

Man pages will be installed in subdirectories of this directory. An
unformatted man page foo.1 will go into .../man1/foo.1; a formatted man
page foo.0 will go into .../cat1/foo.0." > conf-man

위에 보면 중간에 한칸 공백이 있다. 공백을 그냥 줘라.
위의 두 파일을 열어보면 알겠지만 그냥 젤 위에 /usr/local의 경로를 vi로 수정하지
않고 그냥 echo로 파일을 다시 만든 것뿐이다.

컴파일
make
맨페이지 컴파일
make man

find / > /root/ezmlm1

실제 설치
make setup

find / > /root/ezmlm2

diff /root/ezmlm1 /root/ezmlm2 > /root/ezmlm-install

echo "###############################"
echo "##### autorespond install #####"
echo "###############################"
cd /var/tmp/autorespond-2.0.2

컴파일 경로 수정
vi로 Makefile파일 수정
INSTALL_DIR = /usr/local/bin 을
INSTALL_DIR = /usr/bin 로 수정

make
make install

echo "### autorespond-2.02-Installed-list ###" > /root/autorespond-install
echo 'rm -rf /usr/bin/autorespond' >> /root/autorespond-install
autorespond라는 실행파일 하나만 설치된다. 따로 설치 리스트 만들기 좀 뭐하다.

이제까지 qmailadmin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작업(?!)을 마쳤다.
이제 qmailadmin을 설치할 차례다.

echo "###############################"
echo "##### qmailadmin install  #####"
echo "###############################"

소스를 압축해제한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컴피그 한다.
cd /var/tmp/qmailadmin-1.0.6
./configure
--enable-htmldir=/home/httpd/cgi-bin
--enable-cgibindir=/home/httpd/cgi-bin
--with-htmllibdir=/usr/share/qmailadmin
--enable-cgipath=/cgi-bin/qmailadmin
--enable-autoresponder-bin=/usr/bin
--enable-ezmlmdir=/usr/bin/ezmlm

컴피그 옵션중에 위에 경로를 지정하는 부분의 자신의 아파치
cgi-bin폴더를 어디에 설치했는지 주의해서 설정해줘라.
나중에 내가 아파치 설치하는데로 똑같이 설치했다면
위의 경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나 보통 /var/www 아래로 사용할것이므로
수정해줘야 할것이다.

위 옵션중
#--enable-htmldir=/home/httpd/cgi-bin 옵션은
#qmailadmin-images가 --> /home/httpd/cgi-bin/images/qmailadmin/* 아래로 설치된다.

컴파일
make

find /* > /root/qmailadmin1

컴파일후 실제 설치
make install-strip

find /* > /root/qmailadmin2

diff /root/qmailadmin1 /root/qmailadmin2 > /root/qmailadmin-install

이제 설치는 끝났고 qmailadmin을 사이트 루트에서 사용할수 있게
링크를 걸겠다. 왜냐면 나는 /home/httpd/cgi-bin폴더를 사이트 루트로
하지 않았다. 그냥 사이트 루트의 cgi-bin 얼라이어스 폴더의 실제 디렉토리다.

echo "###############################################################"
echo "###    qmailadmin tool images link                        ###"
echo "###    your default website root /home/httpd/vitro.pe.kr    ###"
echo "###############################################################"

ln -s /home/httpd/cgi-bin/images /home/httpd/vitro.pe.kr/images
ln -s /home/httpd/cgi-bin/qmailadmin /home/httpd/vitro.pe.kr/qmailadmin.cgi
chown 110.110 /home/httpd/cgi-bin/qmailadmin <- 큐메일 어드민 소유권을 vpop으로 설정
chmod 6755 /home/httpd/cgi-bin/qmailadmin <--- 반드시 setuid설정해야 실행된다.
만약 setuid설정이 안되었을시 로그인이 안된다.

그리고 qmailadmin의 메뉴가 영어로 나올것이다.
나와 같은 경로로 설치했다면
/usr/share/qmailadmin/html/en이라는 파일을 복사해서
그대로 ko라는 파일로 만들면 그담부터는 한글로 나온다.
물론 시스템 로케일을 ko로 수정하고 나서...

한글로 번역한 파일을 필자가 가지고 있지만
나의 번역의 실력이 의심 스러워 첨부하지 않겠다.
나의 허접한 번역실력을 그래도 믿고 사용하고 픈 리눅서는
질답 게시판에 글 남겨주시길 바란다.

제목 글쓴이 날짜
글을 읽을때마다 조회수 증가 하게 하는 팁 [19] 비밀얌 2007.11.06
회원에게 만기일 주기(1원짜리 팁) [17] 까오천사 2007.11.12
알바트로스 적용후 검색하는 곳에 댓글과 태그 검색 업션 넣기 [1] 비밀얌 2007.11.13
간편해진 페이지 수정법 file coll 2007.11.16
MSN로그인 상태를 홈피좌측 메뉴에 삽입하는 방법 [9] 팔공산 2007.11.27
익명게시판 - 문제가 아직 많습니다. (다시 수정) [11] file 올챙이 2007.12.06
로그인 안되서 files 폴더 지우셨던 분들!! [3] file 율랑 2007.12.11
권한없는 모듈을 만났을때 로그인 페이지 띄우기.. [10] 똑디 2007.12.11
외부페이지에서 위젯사용하지 않고 로그인 정보 다루기. [5] [1] 길치객 2007.12.12
최근 댓글이 가장 위로 정렬 [2] 쏘프티 2007.12.20
외부프로그램(페이지)에서 zbxe 로그인 정보 연동하기 [33] file 도데군 2007.12.23
제로보드에서 로그인후 테크노트에서 로그인정보 사용하기 [4] JinHoHan 2007.12.26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그룹 변경하기 [11] 지연아빠 2007.12.29
xe에 라이프팟 연동하기 [6] 가클 2007.12.30
내 홈페이지에 구글 검색용 애드센스 달기 file RulruRalra 2008.01.01
외부로그인-특정 페이지에 로그인창만 나타나게 하고 로그인하면 메인페이지로 이동하기 [11] 레드맨 2008.01.02
관리자 페이지 않나오게 하기 [1] Diver 2008.01.04
여러 서버에서 하나의 회원목록 관리&사용 [24] 화니군 2008.01.04
숫자 아이디 사용법 [6] Slick 2008.01.10
홈페이지에 예쁜 날씨 배너를 달아보자!!!! [3] file blue7376.myid.net 200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