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수정]

헉; 미리보기가 있어야하는군요-_-;

사용된 예제들이 포함된 파일들의 링크입니다.
#
view-source:http://uerl.net/zboard/zboard.php?id=blog
view-source:http://uerl.net/zboard/outlogin_skin/rage/login.html
#

그럼( 휭- )

[/수정]




-얼마 전부터 css에 관해 알고 있는 것들 정리해보려 했으나..

-대략 귀차니즘으로, 생각순서대로 써나갑니다.
( 그냥 가벼운 마음인 관계로.. 예제파일까지 준비하진 않았습니다.
복사해서 확인해보시는 것도 괜찮겠지요 )





-그럼..





/****************************************

 제로보드 스킨에서 <a> 클래스 지정하기

****************************************/



- 이놈에다가 여러가지 스타일을 적용시키려다가 실패하신 분들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특히나 제로보드 스킨들을 보면 거의 기본스타일 하나만 있는 게 대부분이더군요.

- 거두절미하고, 예제부터 봅시다.



#
a:link.hand, a:acitve.hand, a:hover.hand, a:visited.hand {cursor:hand}

..

a:link.ct, a:active.ct, a:visited.ct {color:#333366;text-decoration:underline}
a:hover.ct {color:#9999CC;text-decoration:none}
#



- 이건 가장 안전한 ─ 다음에 설명할겠습니다 ─ 클래스 선언법입니다.

- 이렇게 할 수도 있지요.



#
.blah a:link, a:active, a:visited {..( 생략 )..}
..
#



- 두번째 방법의 경우 약간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렇게 여러가지 클래스를 정해놨는데, 특히나 제로보드의 경우─ 정의해놓은 클래스를 어느 페이지에선가는 쓰지 않을 수 있겠지요.

- 더구나 노프레임이라면 스타일이 뒤죽박죽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 '선언해놓은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럴 수 있다는 겁니다.
( 아마 전역스타일로 인식해버리는 듯 합니다 )

- 해결책은 첫번째 방법처럼 하는 겁니다. 두번째처럼 '어느 클래스 영역에서는.. 이렇게' 나오도록 하는 건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 무조건 쓰지 말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푸터나 헤더에 링크가 있을 경우는 어느 페이지에서든지 보이겠죠 )



- 제로보드 스킨에서 $a_delete_all, $a_admin.. 등등의 변수들은 아예 <a ..>입니다.

- 이 경우는 str_replace를 써서 강제로 클래스를 지정해줄 수 있지요.







/****************************************

 line-height, padding

****************************************/



- 이 속성들을 아시는 분들은 많을 겁니다.

- 다음은 제가 만들었던 스타일 중 하나입니다.



#
border:solid 1 #999999;background-color:#E0E0E0;color:gray;width:27;height:16;position:relative;top:0px;line-height:15px
#



- 이건 button에 쓰인 스타일입니다.



- 버튼을 만들었는데 글자가 정중앙에 오지 않는다거나, 혹은 위치가 좀 어긋나 보인다거나 할 때, css로 바로잡기를 한 겁니다. 위 스타일을 분석해봅니다.

- 버튼의 높이가 16픽셀이네요. 여긴 나오지 않았지만 폰트의 크기는 9pt입니다.

- 저기서 line-height는 무슨 역할을 할까요?



- 이 엔지오 게시판의 글쓰기 페이지를 보세요. '작성완료'와 '취소하기' 버튼의 경우, 글자가 천장에 딱 달라붙었죠?



- 보통 line-height의 기본값은 120% 정도입니다. 100%로 지정할 경우 글자의 위가 약간 짤립니다.
( 순전히, html/css를 만든 인간들이 영어를 쓰기 때문이지요. 알파벳.. )

- 그런데 이 line-height는 px( 픽셀 )로도 지정 가능하지요.



- 저기서 line-height를 지정해준 건, 글자의 위아래에 남는 여백이 전혀 없도록 해서

- 글자를 버튼의 정가운데로 ─ 수직, 수평 모두 ─ 오게 한 겁니다.









/****************************************

 padding, <tr>, table-layout

****************************************/



- 테이블 레이아웃이란 스타일이, 대체 무슨 역할을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그러나 이놈 덕분에 우리는 테이블을 좀 더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습니다. 예제를 봅시다.



#
<table ..( 중략 ).. style='table-layout:fixed'>
<tr height=25>
<td width=100 style='padding:25'>
냐냐냐
</td>
</tr>
</table>
#



- 테이블-레이아웃은 auto와 fixed, 두 가지의 속성값을 가집니다.

- 위의 예제는 글자를 <td>의 가장자리에 바싹 대거나 약간 가리는 겁니다.
( 반드시 <tr>의 height와 함께 지정해주셔야 합니다. )
( padding 값이 25이니, 글자는 보이지 않겠군요. 이걸 조정하면 border에 바싹 댈 수 있겠지요 )



- 비슷한 효과를 line-height로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line-height를 실제 폰트의 크기보다 줄이면, 먼저 폰트의 윗부분이 잘려나갑니다.

이건 맨 앞에 <br />을 붙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 줄이면 폰트의 아랫부분부터 깎여나가는데,

<td>의 valign을 bottom으로 지정해놓고 padding과 함께 사용하면

table-layout을 사용하지 않고도 같은 모습을 나타낼 수 있겠지요 *)







##########################################

헛소리만 한 건 아닌지 모르겠군요.. 훔

다른 거 생각나면 또 적죠.. :P 그럼 이만
제목 글쓴이 날짜
apache_2.0.47 + php-4.3.3 + mysql-4.0.16 + zb41pl4 의 windows xp 설치 [3] 기산 2003.10.28
.htaccess .htpasswd 파일 등을 윈도우에서 만들어서 리눅스에 올려보자. [4] &zeo 2003.10.28
포트 스캐닝 감시 및 OS 정보 숨기기 [3] 좋은진호 2003.10.30
Linux 에서 Mysql 설치법 [4] 화니 2003.10.31
윈도우에 세팅한 서버에 설치된 phpmyadmin 에 인증걸기 [3] 피카추삼겹살 2003.11.05
[C급]Internet Explorer 다중 취약점 ATpple.com 2003.11.12
[C급]Buffer Overrun in the Workstation 취약성 통한 코드 실행 ATpple.com 2003.11.12
[C급]FrontPage Server Extensions 취약점으로 인한 임의코드 실행문제 ATpple.com 2003.11.12
리눅스 커널(kernel)에 심각한 보안 결함 발견 [1] 아치 2003.12.04
APM서버설치-XAMPP v1.2 [14] The Darkness 2003.12.05
iis에서 로그인창 뜨는 문제 해결방법 제시 [3] 함재식 2003.12.12
윈도우 2003에서의 APM+phpMyAdmin+MMCache설치법.. [1] 김수용 2003.12.13
MySQL 퍼포먼스를 top명령어처럼 모니터링 mytop 좋은진호 2003.12.14
유저 자동 셋팅 스크립트 Ver 2.0 [3] 김병철 2003.12.15
VirtualHost 안될때 [1] 이성헌 2003.12.16
Apache 2.X 버전의 한글문제와 새로운 방식의 APM 셋팅 [8] 최종우 2003.12.17
랜카드 상태 확인 및 연결 속도 변경 mii-tool 좋은진호 2003.12.19
apache 1.3.x-2.0.48 의 원격 유저 검색 취약점을 이용한 exploit [2] DearMai 2003.12.27
redhat 9.0에서의 qmail 설치 문서 비츠로 2004.01.04
리눅스 서버 설치 및 관리에 따른 초보경험담을 게시판에 담아... [1] eversun 200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