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홈페이지는 태그(tag)명령어로 만들어 집니다.  태그명령어는 어찌보면 많다고 할 수도 있겠으나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다 외우면 좋겠죠^^) 단지, 이런걸 만들 땐 이런 명령어를 쓰는 구나 하면서 한번 쭉 읽어보시고 기본적이고 자주 쓰이는 몇가지 명령어만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것은 그때 가서 찾아서 쓰셔도 됩니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에 자신도 모르게 태그명령어를 다 알게 되죠^^ 그럼 여기에서는 전체적으로 태그명령어와 간단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그냥 한번 가볍게 본다는 기분으로 읽어보세요^^


  
<html></html>  문서의 맨처음과 맨끝에 들어감
<body>  문서의 본문내용이 들어감
<head></head>  HTML문서의 큰 제목 부분을 정함
text="글자색"  글자색을 지정
<title></title>  웹페이지의 제목을 지정
link,vlink, alink  링크, 방문한 링크, 클릭시 색을 지정
예제)
<html>
<head>
<title>대화방 태그</title>
</head>
<body bgcolor="배경색을 지정">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본문내용 : 대화방 태그 홈페이지 시작.

</html>  

※ 서식 관련

  

내용

본문에서 단락을 구분.   <I>내용</I>  이태릭체로
내용
단락구분.마지막 줄 안 띄어줌 <U>내용</U>  밑줄

내용 줄바꿈 <blink>내용깜박이게
내용
  본문의 중앙에 오게 배치 <CITE>내용</CITE>  인용이나 참조로 표시할때  
<HR></HR>수평선 <CODE>내용</CODE>  컴퓨터프로그램 코드모양변환
<PRE>내용  스페이스의 공백 인식 <EM></EM>  강조,이태릭체
<H1~6>문서 제목</H1~6>글짜 크기를 1~6까지 사용 <KBD></KBD>  키보드로입력한것과 같은모양
<BIG>내용  기본 글꼴보다 한 단계 크게 <STMP></STMP>  예제로 표시할때
<SMALL>내용</SMALL> BIG의 내용과 반대되는 표현 <STRONG></STRONG>  글자를 굵게
<ADDRESS>내용  메일주소,연락처등을 기록 <SUB></SUB>  아래 첨자로 보여줍니다.  
내용  지정된 내용을 굵게 <!--주석-->  주석
<TT></TT>타자기로 친 것처럼 보여줌 <SUP></SUP>위첨자로
<HR SIZE=n WIDTH=n ALIGN=LEFT,CENTER,RIGHT></HR>수평선의 두께,넓이,문단에서 왼쪽,중앙,오른쪽을 지정
내용글자를 크기,색상,글꼴을 지정
<BLOCKQUOTE>내용  인용문 등을 사용

내용

문단내용정렬


※ 목록정의

 
<UL></UL>순서가 필요없는 목록을 적을때
<OL></OL>순서가 필요한 목록을 적을때
<LI></LI> UL,OL태그사용시 목록을 적을때
<DL></DL>  용어정의 목록을 시작하는 곳에 사용
<DT>  용어의 이름을 쓴다.  
<DD>용어의 대한 설명을 쓴다

여기에서는 태그를 배우는데 가장 기초인 text 태그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말 그대로 글자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 태그입니다. 주로 글자의 색깔, 크기, 움직임, 글꼴 등을 나타낼 수 있니다....자~ 그럼 한 가지씩 배워볼까요?^^

※ 글자태그의 기본
글자태그는 기본적으로 입니다. 그런데 ☜이것만 있어서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낼 수 없구요....단지 기본적인 뼈대이며...☜이것에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는 속성이 붙는 겁니다.  예를 들자면  녹색이런식 이져^^  

※ 글자색 조정 (   )
제일 먼저 글자의 색을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색을 영어로 color 라고 하죠?^^ 모르시는 분들은 없겠져?^^ 그대루 써주시면 됩니다. 단, 태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글꼴을 제외하곤 한글을 쓰지 못합니다. 전부다 영어나 기호를 사용해야 하죠. 그러기 때문에 색명을 적을 때도 영어로 "red" , "green" , "yellow" ☜이런 식으로 적어 주어야 합니다.

태그 변화
이건 빨간색이건 빨간색
이건 파랑색이건 파랑색
이건 녹색이건 녹색
이건 빨간색 이건 빨간색
이건 노랑색이건 노랑색

위에 표를 보니 이해가 되시져....^^ 뒤에 두개는 RGB색상코드를 넣은 겁니다. RGB색상코드를 알고 싶은 분은 ☞[이곳을 클릭] 하시면 RGB색상코드표가 있으니 거길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글자 크기 조정 ( 혹은 혹은 <h1>~<h6> )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컬러와 마찬가지로 크기는 영어로 size 져..^^ 그리고 태그 안에 수치나 숫자가 커질 수록 글자크기가 커집니다.(주의 : <h>의 경우숫자가 작을 수록 커짐) 단, font size의 경우 최대 7까지 밖에 크게 할 수 없구요...h의 경우도 최대 h1까지가 한도이죠. 예제를 한번 볼까요?^^

 태 그 변 화
글씨 크져^^글씨 크져^^

<h1>이건 더 크져^^</h1>이건 더 크져^^
더욱 크져더욱 크져


   아시겠져^^ 마지막에 가장 큰 글씨는 스타일 이용한 건데요....이건 수치를 넣은 만큼 크기가 무한대로 커지기 때문에 사용하실 때 조심하시도록.......그리고 앞에☜이 부분에 font 대신 다른 태그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다른 태그를 집어 넣으면 해당태그에 속하는 글자의 크기가 지정된 수치만큼 커집니다.^^

※ 글꼴 조정 ( )
   이번에는 글꼴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글꼴이 뭔지는 아시져? ^^ 우리가 "돋움체","궁서체","바탕체" 등...뭐 이런 글자의 모양을 말하는 거죠^^ 이러한 글꼴도 역시 태그를 이용해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태 그 변 화
이건 궁서체네용^^이건 궁서체네용^^
이건 돋움체이구용^^이건 돋움체이구용^^
이건 바탕체입니다^^이건 바탕체입니다^^
이건 Arial 체입니다.^^이건 Arial 체입니다.

참고적으로 돋움체 궁서체 바탕체 Arial 등의 글씨체들은 컴퓨터에 윈도우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기본폰트입니다. 때문에 위에 표에서처럼 사용해도 다른 사람들 역시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지정해준 돋움체 궁서체 등등으로 보여지게 되는거죠. 만약에 여러분께서 "산돌광수체" 를 사용했다면 다른사람들의 컴퓨터에 "산돌광수체"가 설치되어 있다면 보이겠지만 "산돌광수체" 는 윈도우 기본폰트가 아니기때문에 "산돌광수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산돌광수체가 아닌 그냥 일반폰트로 보여지게 되는 겁니다. 즉, 글씨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그걸 보는 사람의 컴퓨터에도 같은 폰트가 존재해야만 제대로 보여진다는 것이죠. 여기까지 이해되셨나요? ^^; 그렇게 어려운 말은 아닌데... 정 이해가 안되신다면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이 강좌 쓸때까지만 해도 없었는데... 요즘은 웹폰트라고 해서 자신의 컴퓨터나 상대방의 컴퓨터에 폰트가 존재하지 않아도 제대로 보이는 폰트가 나왔습니다. 그 원리는 개인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폰트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홈페이지 계정(서버)에 웹폰트를 설치하고 방문객들이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계정에 있는 웹폰트를 방문객들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보여주게 되는 것입니다. 웹폰트는 유료웹폰트가 대부분이며, 요즘은 무료웹폰트도 나오고 있으니 나중에 한번씩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이거 역시 이해가 안되시면 패쑤~ 하셔도 됩니다. ^^; 어차피 때되면 다 알게된답니다.^^*

 자...글자색, 글자크기, 글꼴에 대해서 배워봤는데요...다음 페이지에서는 글자움직임 과 각종 예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홈페이지 제작시 자주 사용되는 기본 문법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문단 태그 , 주석태그 등이 여기에 속한다.

,



태그는 한 줄을 바꿔주는 기능을 하는 태그입니다. 강제개행 태그라고도 하죠.

태그는 문단을 나누어 주는 태그입니다.
  
<html>
<head></head>
<body>
1. <br>태그의 경우 줄을 바꿔줍니다.
2. 이렇게 바꿔어 주죠.
3. 어때요? ^^
  

1. 이에 비해 <p>태그는 문단을 나누어 줍니다.


  

2. 문단을 나눕시다. ^^


  

3. 문단이 나누어 집니다.



</html>

어때요? 간단하죠? ^^

☞ 주석태그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나 스타일 시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인데요....HTML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나 스타일 시트의 경우에는 해당 자바스크립트나 스타일 시트를 브라으저가 읽지 못하는 경우 브라으저에 그 소스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물론 주석태그는 브라우저상으로는 표현되지 않습니다. HTML에서는 주석태그를 이용해 설명같은 것을 달아줄때 사용합니다. 우리가 웹페이지를 만들어 놓고 오래되면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미리 설명을 달아놓으면 잊을 염려가 없죠.
주석태그는 <!-- ☜ 이것으로 시작해서 -->☜이것으로 끝나게 됩니다.

<html>
<body>
  <!-- 주석태그 부분은 브라우저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
  주석 태그란?
  <!-- 주석태그에 제작자가 설명을 해놓으면 좋겠죠? ^^ -->

</html>

☞ <hr>
<hr>태그는 선을 그려주는 태그입니다. 사용방법은 <hr width="선길이" size="높이수치" align="정렬위치" noshade>☜ 이렇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width="선길이" 의 경우 % 와 px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ize 의 경우 선의 높이를 조절해주는 속성이며 align 속성의 값으로는  left , center , right 등이 들어 갈 수 있습니다.  noshade 속성은 입체감을 없애 주기 위한 때 넣어주는 속성입니다.

<html>
<body>
1. 선 그리기
<hr>
2. 선그리기
<hr width="100px">
3. 선 그리기
<hr width="100px" size="10">
4. 선 그리기
<hr width="50%" size="20">
5. 선 그리기
<hr width="500" size="50" align="left">


<hr width="500" size="50" align="right" noshade>

</html>

☞ 글꼴 태그 &첨자 &밑줄 태그
☜ 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특정 글꼴을 나타내주거나 글자에 특정효과를 나타내어 주는 방법입니다.

이탤릭체  <i></i> , <em></em> , <cite></cite>보통글자 이탤릭체 
굵은 글자   , <strong></strong>보통글자 굵은 글자 
윗첨자  <sup></sup>보통글자윗첨자 
아래첨자  <sub></sub>보통글자아래첨자 
밑줄 글자  <u></u>글자 밑에 줄 
가운데 밑줄  <s></s>글자가운데 줄
사운드(sound) 태그란 말 그대로 음악이나 소리가 나오게 하는 태그입니다. 요즘은 홈페이지, 카페, 동호회방에 배경음악을 많이들 삽입하고 있는데요....그냥 맹맹한 웹페이지보다 감미로운 선율이 나오는 웹페이지가 더 방문객들에게 기억에 남겼져^^ 사운드 태그는 재생시킬 사운드가 뭐냐에 따라, 브라우져를 뭐를 쓰는냐에 따라 , 방문객을 고려하느냐 안 하느냐, 어느 곳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나누어 집니다. 그럼 여기서부터 사운드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져^^
먼저 사운드 태그를 배우기 전에 사운드 파일의 종류가 뭐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소한 자기가 듣고 있는 음악이 어떠한 파일인지는 알고는 있어야 나중에 자기가 직접 사용할 때 많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져^^
※ 재생시킬 사운드파일의 종류

① asf / wma 파일 (윈도우미디어 파일)
  1~2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홈페이지 배경음악용으로는 인터넷접속 여건상 mid 파일을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vdsl 이나 엔토피아 등등 통신여건이 좋아져서 예전처럼 mid 파일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별로 없을 겁니다. 대신 asf 나 wma 파일을 많이 사용합니다. asf 는 오디오 스트리밍 파일의 약자로서 홈페이지 배경음악용으로 용량대비 음질이 괜찮다고 평가 할 수 있습니다. mp3파일에 비해 용량은 1/4 이고 음질은 그냥 듣기에 큰차이가 없기때문이죠. 실제로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벅스뮤직 같은 인터넷음악사이트에서 대부분 asf 형식의 음악파일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 을 클릭하시고 잠시만 기다리시면 asf 파일이 재생됩니다. asf 파일과 wma 파일은 확장자 이름만 틀릴 뿐이지 같은 형식의 파일입니다. wma 를 asf 로 바꿔서 재생해도 똑같이 재생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asf 파일의 업데이트버젼을 wma 파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② mid 파일 (미디파일)
예전에 홈페이지 배경음악으로 가장 많이 사용했던 음악파일 형식입니다. 여러분들이 웹서핑이나 채팅할 때 가수의 목소리는 나오지 않고 멜로디만 나오는 음악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그게 바로 mid 파일 음악입니다. mid 파일은 파일용량이 적은 대신 음질이 상대방의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의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여기에 있는 음악을 실행시켜보세요. ▶ 을 클릭하시면 mid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소리가 작게 나올 수도 있으니 여러분들의 컴퓨터의 볼륨을 약간 높혀 주세요  

  mid 파일의 최대의 장점은 방문객들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적은 용량으로도 멋진 음악을 들려 줄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각각의 방문객들의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따라 음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사운드카드를 좋은 걸 쓰시는 분들한테는 원래의 음질을 들려줄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분들에게는 조금 떨어지는 음질이 들려지게 되는거죠.    
③ ra, ram 파일
   이건 리얼플레이어(realplayer)를 이용해서 음악을 듣는 파일입니다. 쉽게 말해서 리얼플레이어 없이는 재생이 되질 않습니다. 예전에 채팅방에서 많이 쓰였던 건데요....음악을 불러오면 여러분들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리얼플레이어가 작동되면서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ra, ram 파일은 mid 파일과는 달리 가수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고 용량도 mp3 파일보다 적답니다.(약 1/4 수준) 하지만 음질이 상당히 떨어지고 전용선 사용자들에게는 전혀 무리가 가지 않는 대신 모뎀사용자들은 어느정도 무리가 가기 때문에 배경음악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혹시 리얼플레이어가 자기 컴에 설치되있지 않으신 분들은 http://www.freepia.co.kr 로 가면 공개소프트웨어를 찾아보면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④ wav 파일
   웨이브 파일의 경우 음질은 좋은 대신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홈페이지에서는 그렇게 많이 사용되질 않습니다. 간단하게 자신의 목소리나 인사말을 녹음시켜 홈페이지에 삽입시킬때 많이 사용되죠^^

☜여기를 실행시켜보세요. 간단한 실로폰 소리가 나올텐데요.....웨이브의 경우 파일의 용량이 적은 것을 홈페이지에서 사용하져...노래를 웹상에서 직접 듣는 것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힘들어요.  


※ 대략적인 파일형식별 크기비교 : wav (30M) > mp3 (4M) > asf (1M) > mid (10k)

⑤ 기타
  기타 mp3 파일, au 파일, aiff 파일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홈페이지나 채팅방 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나중에 인터넷 사용자들 전부가 전용선을 사용한다면은 많이 사용하겠져^^
음악 파일에 대해선 이 정도만 알아두셔도 충분합니다. 다음 페이지부터는 본격적으로 사운드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페이지로 가시져^^

사운드(sound) 태그란 말 그대로 음악이나 소리가 나오게 하는 태그입니다. 요즘은 홈페이지, 카페, 동호회방에 배경음악을 많이들 삽입하고 있는데요....그냥 맹맹한 웹페이지보다 감미로운 선율이 나오는 웹페이지가 더 방문객들에게 기억에 남겼져^^ 사운드 태그는 재생시킬 사운드가 뭐냐에 따라, 브라우져를 뭐를 쓰는냐에 따라 , 방문객을 고려하느냐 안 하느냐, 어느 곳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나누어 집니다. 그럼 여기서부터 사운드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져^^
먼저 사운드 태그를 배우기 전에 사운드 파일의 종류가 뭐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소한 자기가 듣고 있는 음악이 어떠한 파일인지는 알고는 있어야 나중에 자기가 직접 사용할 때 많은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져^^
※ 재생시킬 사운드파일의 종류

① asf / wma 파일 (윈도우미디어 파일)
  1~2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홈페이지 배경음악용으로는 인터넷접속 여건상 mid 파일을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vdsl 이나 엔토피아 등등 통신여건이 좋아져서 예전처럼 mid 파일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별로 없을 겁니다. 대신 asf 나 wma 파일을 많이 사용합니다. asf 는 오디오 스트리밍 파일의 약자로서 홈페이지 배경음악용으로 용량대비 음질이 괜찮다고 평가 할 수 있습니다. mp3파일에 비해 용량은 1/4 이고 음질은 그냥 듣기에 큰차이가 없기때문이죠. 실제로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벅스뮤직 같은 인터넷음악사이트에서 대부분 asf 형식의 음악파일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 을 클릭하시고 잠시만 기다리시면 asf 파일이 재생됩니다. asf 파일과 wma 파일은 확장자 이름만 틀릴 뿐이지 같은 형식의 파일입니다. wma 를 asf 로 바꿔서 재생해도 똑같이 재생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asf 파일의 업데이트버젼을 wma 파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② mid 파일 (미디파일)
예전에 홈페이지 배경음악으로 가장 많이 사용했던 음악파일 형식입니다. 여러분들이 웹서핑이나 채팅할 때 가수의 목소리는 나오지 않고 멜로디만 나오는 음악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겁니다. 그게 바로 mid 파일 음악입니다. mid 파일은 파일용량이 적은 대신 음질이 상대방의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의 성능에 따라 달라집니다.  

☜여기에 있는 음악을 실행시켜보세요. ▶ 을 클릭하시면 mid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소리가 작게 나올 수도 있으니 여러분들의 컴퓨터의 볼륨을 약간 높혀 주세요  

  mid 파일의 최대의 장점은 방문객들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적은 용량으로도 멋진 음악을 들려 줄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각각의 방문객들의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따라 음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사운드카드를 좋은 걸 쓰시는 분들한테는 원래의 음질을 들려줄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분들에게는 조금 떨어지는 음질이 들려지게 되는거죠.    
③ ra, ram 파일
   이건 리얼플레이어(realplayer)를 이용해서 음악을 듣는 파일입니다. 쉽게 말해서 리얼플레이어 없이는 재생이 되질 않습니다. 예전에 채팅방에서 많이 쓰였던 건데요....음악을 불러오면 여러분들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리얼플레이어가 작동되면서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ra, ram 파일은 mid 파일과는 달리 가수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고 용량도 mp3 파일보다 적답니다.(약 1/4 수준) 하지만 음질이 상당히 떨어지고 전용선 사용자들에게는 전혀 무리가 가지 않는 대신 모뎀사용자들은 어느정도 무리가 가기 때문에 배경음악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혹시 리얼플레이어가 자기 컴에 설치되있지 않으신 분들은 http://www.freepia.co.kr 로 가면 공개소프트웨어를 찾아보면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④ wav 파일
   웨이브 파일의 경우 음질은 좋은 대신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홈페이지에서는 그렇게 많이 사용되질 않습니다. 간단하게 자신의 목소리나 인사말을 녹음시켜 홈페이지에 삽입시킬때 많이 사용되죠^^

☜여기를 실행시켜보세요. 간단한 실로폰 소리가 나올텐데요.....웨이브의 경우 파일의 용량이 적은 것을 홈페이지에서 사용하져...노래를 웹상에서 직접 듣는 것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힘들어요.  


※ 대략적인 파일형식별 크기비교 : wav (30M) > mp3 (4M) > asf (1M) > mid (10k)

⑤ 기타
  기타 mp3 파일, au 파일, aiff 파일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홈페이지나 채팅방 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나중에 인터넷 사용자들 전부가 전용선을 사용한다면은 많이 사용하겠져^^
음악 파일에 대해선 이 정도만 알아두셔도 충분합니다. 다음 페이지부터는 본격적으로 사운드 태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페이지로 가시져^^

이미지 태그는 웹 제작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태그입니다. 물론 채팅을 할때나 카페, 동호회를 만들 때도 이미지 태그는 기본이져^^ 요즘은 펫게임(ID : tagmania)하는데도 태그가 많이 쓰이던데....거기서도 가장 기본적인 태그가 이미지 태그입니다. 흠.....제가 지금까지 기본이라는 소리를 무려 3번씩이나 할 정도면 얼마나 중요한 기본태그인지 아시겠져^^ 배우기도 아주 쉽습니다. 이미지 불러오는 태그명령어와 배경그림 넣는 태그명령어 2개만 배우면 이미지 태그는 다 배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배워볼까요? ^^

※ 그림 나타나게 하는 태그( )
  위에 보라색으로 나타나있는 것이 이미지 태그입니다. 간단하죠?^^ 자....그럼 직접 해볼까요? ^^ 태그연습장에 아래 소스를 넣고 실행시켜 보세요....


  짠~! 하구 철도원 아저씨가 나타날겁니다.^^ 흠....그럼 이제 그림 나타나게 하는 태그는 다 배운 것입니다. 여기서 약간 몇 가지 속성만 알고 있으면 이미지 태그를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미지의 가로세로 길이, 간격 및 테두리 두께 등을 조절 할 수 있는데요......아래 표를 보시죠^^



속 성 기 능
width="수치"  넣은 수치만큼 이미지의 가로 너비를 조정해주는 속성입니다.  
height="수치"  넣은 수치만큼 이미지의 세로 높이를 조정해주는 속성입니다.
hspace="수치"  이미지의 가로 간격(공간)을 주는 속성입니다. 여기서 간격이란 하나의 이미지와 글자 사이의 공간의 너비를 말하는 겁니다. 이해 되실런지.....^^>  
vspace="수치"  이미지의 세로 간격(공간)을 주는 속성입니다. 가로간격이란 마찬가지져...^^ 이건 세로간격..^^
border="수치"  이미지의 테두리 두께를 나타내줍니다. border="0" 일 경우에는 테두리가 나타나지 않고 1부터 테두리가 나타나져...^^

위의 속성은 잘 알아두셔야 만히 나중에 이미지 태그를 사용할 때 편하니깐 왠만하면 외워버리세요^^ 안되면 말구^^
☜ 여기 아저씨는 조금 전에 그 철도원 아저씨네요...^^ 근뎅 조금 전이랑은 약간 다르다고 느껴지지 않나요? 그져....조금 전에 태그연습장에서 했을 땐 그림 주위에 검은 테두리가 없었는데 지금껀 있져...^^ 바로 위에서 배웠던 border 속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또 다른 속성도 사용했는데....아마 관찰력이 뛰어나신 분은 아셨을 겁니다. 바로 hspace과 vspace 속성도 사용했답니다.  
※ 특강 - 이미지 주소 알아내기
여기서 잠시 특강이 있겠습니다. 태그 초보분들이 맨날 질문하는 건데요...이미지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위에 철도원 아저씨를 가지고 설명드리져^^ ① 마우스 커서(화살표)를 철도원아저씨 그림위에 놓는다. ② 그림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턴을 살포시 한번만 누른다. ③ 마우스 오른족 버턴을 누름과 동시에 메뉴표가 쫘악~ 나올 것이다. 거기서 "등록정보" 를 선택한다. ④  그러면 바로 여러분들이 찾아 헤메던 이미지의 "주소(URL)" 이 나올 것이다. ⑤ 주소를 마우스로 블록설정해서 복사한다...그런 다음 이미지 태그에 넣는다.... ⑥ 그러면 실행가 동시에 이미지가 나올 것이다...이미지가 큰거면 조금 오래 걸릴 수도 있다....

이미지 주소보는 법은 이제 알았으니 이미지 태그 속성에 관한  아주 중요한 틱을 하나 가르켜 드리져.....우리가 보통 이미지와 글자를 같은 줄에 넣을 땐 글자와 이미지가 한줄에 같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미지 옆으로 한줄 밖에 쓸 수가 없습니다. 이해가 되실런지...안되면 아래 예제를 각각 실행시켜보세요..^^
이미지 주소보는 법은 이제 알았으니 이미지 태그 속성에 관한  아주 중요한 틱을 하나 가르켜 드리져.....우리가 보통 이미지와 글자를 같은 줄에 넣을 땐 글자와 이미지가 한줄에 같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미지 옆으로 한줄 밖에 쓸 수가 없습니다. 이해가 되실런지...안되면 아래 예제를 각각 실행시켜보세요..^^



<html>
<head></head>
<body>
여기에서는 이미지 옆으로 한 줄밖에 들어갈 수 없져...그래서 보기도 않좋고....웹페이지 만들때도 차지하는 공간도 많아지겠죠^^

</html><html>
<head></head>
<body>
그러나 여기를 보면  이미지 옆으로 여러 줄이 들어갈 수 있져...그리고 이미지와 글자사이에 간격도 일정하게 있구요..그래서 보기좋게 쓰여지는 거져^^ 또한 이미지에 테두리도 있네용^^ 어때요? 방금 전보다 훨씬 낮죠?^^

</html>

어때요? 이해 되시죠?^^ 만약 속성을 모른다면 이와 같은 것 나타낼 수 없겠죠?^^  알려줄때 외우세용^^ 다 여러분 잘 되라고 하는 거니깐.....하라고 할때 잘 따라하시길......^^  헉... 이건 우리 엄마가 나보고 맨날 하는 소리인데...^^


http://www.interiorbank.ne.kr http://www.eduitbank.or.kr

제목 글쓴이 날짜
주소고정 안되는분들~! [3] 순뎅 2006.07.04
날씨/운세/뉴스/달력/검색등 메인용 귀연 정보박스[미리보기] [12] 뽀因㉦ㅓо Ø Γ 2006.07.19
list , menu form 문에서 select할때 캘리 2006.08.18
슬라이드 배너및 메뉴가 익스플러 창 조절시 좌표값 변할때 사용 하는 구문!! 천문길 2006.08.21
ip추적&감추기 [2] 인테리어뱅크 2006.09.11
HTML 개념잡기 인테리어뱅크 2006.09.11
HTML 기초강좌 [1] 인테리어뱅크 2006.09.11
별거아니지만... form 태그 공백같이 밀려나는것 막기? [3] ReloadMax 2006.09.16
셀렉트박스 트리메뉴인데 참 이뻐요(링크타켓 - top) [3] 뽀因㉦ㅓо Ø Γ 2006.09.19
셀렉트박스 트리메뉴인데 참 이뻐요(링크타켓 - new/blank) [8] file 뽀因㉦ㅓо Ø Γ 2006.09.19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는데 빈틈이 생길 때...해결 방법 [5] file 이명우 2006.12.16
프레임속성을 이용해 여러가지 형태로 테이블만들기. [1] 슬비 2007.01.04
각종 이~~~뿐!!! 메인 컨텐츠 모음 [6] 뽀因㉦ㅓо Ø Γ 2007.01.05
간지님 faq 따라하기.... [1] 이진수 2007.01.11
fieldset태그 [1] Dredroad[炫] 2007.01.24
CSS로 바꾸어 쓰는 HTML태그!.. [XHTML약간^^;] [2] 박종훈 2007.02.10
프레임 홈페이지 만들때 유용한 팁 [2] 지오 2007.03.24
[초간단 팁] 글씨에 음영효과를 주는 태그 [2] file 이유 2007.05.02
html 웹자료제작,교과목제작[사용법 동영상강좌] [3] parkys 2007.05.11
메시지 안뜨는 오른쪽 마우스 금지소스 [14] 푸름[poorum] 200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