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

김병철님 말씀대로 서버 2대에서 ftp로 백업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의외로 아주 쉽게 구현이 될것 같습니다.

이것도  cron의 개념은 있어야 합니다. 아래 강좌를 보시면 cron에 대한것이 있으니 먼저 찾아보시길..

1. 웹서버의 에서의 백업 스크립트 작성

백업스크립트를 작성한다. 나의 경우는 /root/ftp_backup.sh로 만들었다.
(왜냐면 기존에 사용하던 backup.sh이 있으니깐 ^^, 그리고 ftp로 한다는것을 알기 위해서^^)

[root@www /root]cat ftp_backup.sh
#!/bin/bash

#MySQL DB backup
/usr/local/mysql/bin/mysqldump -uroot -p**** mysql > /backup/mysql_db_bak_$(date +%Y%m%d).sql
/usr/local/mysql/bin/mysqldump -uroot -p**** yanemone > /backup/yanemone_db_bak_$(date +%Y%m%d).sql

#html file backup
tar cvfpz /backup/html_bak.tar.gz /var/www/html
tar cvfpz /backup/yanemone_html_bak.tar.gz /home/yanemone/public_html
tar cvfpz /backup/dichang_html_bak.tar.gz /home/dichang/public_html

#delete old data
find /backup -ctime +3 -exec rm -f {} ;

2. 웹서버에서의 cron 등록
crontab -e 해서 cron을 등록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매일 6시에 ftp_backup.sh을 수행하라는 의미이다
00 06 * * * /root/ftp_backup.sh

여기까지 제대로 했다면 /backup 아래에 관련 파일이 새벽 6시부터 만들어 질것이다.

3. 백업 서버의 스크립트 작성
웹서버에서 만들어 놓은 백업 자료를 백업서버에서 가져오는것을 작성해야 한다.
두개의 스크립트가 필요한데 하나는 ftp 실행파일이고 하나는 ftp 명령어 이다.

[root@king /root]# cat ftp_backup.sh
#!/bin/bash
ftp -n 211.57.173.XXX < ./ftpscript

[root@king /root]# cat ftpscript
user yanemone *******
cd /backup
lcd /backup
bi
prompt
mget *.gz
mget *.sql
bye

4. 백업 서버에서의  cron 등록
crontab -e 해서 cron을 등록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매일 6시 20분에 ftp_backup.sh을 수행하라는 의미이다
20 06 * * * /root/ftp_backup.sh

rsync보다는 간단하게 구현이 되는것 같다. ^^
제목 글쓴이 날짜
리눅스 보안 : 기초적인 방화벽 : portsentry 설치하기 [2] 정인배 2002.11.29
cron을 이용한 자동 백업 받기 최종우 2002.12.02
cron과 rsync 그리고 replication 을 이용한 데이터 백업 [3] 최종우 2002.12.03
FTP 를 이용한 원격 백업 받기 [5] 최종우 2002.12.04
[계정삭제 스크립터] 편리님이 만드신 계정추가랑 연동됩니다. [4] file 김동현 2002.12.04
[FreeBSD] 자동으로 시간 맞추기.. [1] DeX™ 2002.12.04
계정 등록 스크립트 [8] 편리 2002.12.05
오래간만에 찾아뵙는군요^^ [2] Dopesoul 2002.12.08
Zend Optimizer Full Pass Setup [3] DukeEYS 2002.12.08
mod_gzip 적용시 php 인클루드를 실패해서 포기하신분 보세요 [2] DukeEYS 2002.12.08
apache2 + mod_jk 100번의 닭질 끝에 찾아가는 사이트 DukeEYS 2002.12.09
[FreeBSD] Proftp + MySQL 연동 설치하기 [2] file DeX™ 2002.12.09
레드햇(redhat)리눅스에서 rpm 관리 명령어 정인배 2002.12.09
srpms, alpha, i386 , i686 이 의미하는 것은? [1] Dopesoul 2002.12.12
누군가 우리서버를 공격하고 있을때 응급처치! [13] Dopesoul 2002.12.13
[re] 저의 최종의견 입니다. [5] Dopesoul 2002.12.17
SetEnvIf 와 SetEnvIfNocase 의 차이 [7] Dopesoul 2002.12.13
DeX 님의 시간 동기화 스크립트를 편하고 안정적으로 변경한 리눅스용! [4] Dopesoul 2002.12.13
리눅스 rpm 명령어 활용(1): MRTG 설치 정인배 2002.12.14
PHP 4.2.3 파워 설치 테크닉 (에러 0%에 도전) [2] 밍밍이 200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