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리눅스 환경 : 레드햇 8.0

MRTG 는 Multi Router Traffic Grapher 로서 네트웍상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툴 입니다. 주로 snmp 기능이 지원되는 라우터 장비가 해당이 되며,스위칭허브 등도 모니터링
할수 있습니다.
  
이 패키지를 설치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rpm 명령어를 어떻게 활용 하는가가 목적 입니다.  
마침 mrtg를 설치 하려고 했었다면 더욱 좋습니다.

  
1. mrtg 패키지가 설치 되었는지 쿼리를 해봅니다.

# rpm -qa mrtg    
# rpm -qa | grep mrtg
# rpm -qa | grep -i mrtg

아무 검색 결과가 안나옵니다. 즉 설치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2. 모질라나 넷스케입등 브라우져를 띄워서 http://www.rpmfind.net에서 mrtg rpm 을 검색 합니다.

주욱 내려보니 마침 레드햇 8.0용 rpm 이 있습니다.(mrtg-2.9.17-8.i386.rpm)
이제 이 rpm 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오른쪽의 패키지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됩니다.

기본으로 사용자가 root 라면 /root 디렉토리에 계정사용이면 /home/내ID 디렉토리에 내려 옵니다.  

# rpm -Uvh mrtg-2.9.17-8.i386.rpm
  
이제 설치가 되었습니다.

3. 이제 설치된 mrtg rpm에 대해 다양한 조회를 해 봅니다.

1) 패키지 정보를 봅니다.
# rpm -qi mrtg-2.9.17-8
Name        : mrtg                    Relocations: (not relocateable)
Version     : 2.9.17                  Vendor: Red Hat, Inc.
Release     : 8                       Build Date: 2002년 06월 24일 (월) 오전 05시 50분 45초
Install date: 2002년 12월 09일 (월) 오후 01시 33분 40초      Build Host: perf90.perf.redhat.com
Group       :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Source RPM: mrtg-2.9.17-8.src.rpm
Size        : 2558992                          License: GPL
Signature   : DSA/SHA1, 2002년 09월 04일 (수) 오전 06시 30분 21초, Key ID 219180cddb42a60e
Packager    : Red Hat, Inc. <http://bugzilla.redhat.com/bugzilla>
URL         : http://ee-staff.ethz.ch/~oetiker/webtools/mrtg/mrtg.html
Summary     : 다중 라우터 소통량 그래프 기록기(Multi Router Traffic Grapher)
Description :
다중 라우터 소통량 그래프 기록기(Multi Router Traffic Grapher - MRTG)는
네트웍-링크 상의 소통량을 모니터하는 도구입니다. MRTG는 PNG 이미지가 있는
HTML 페이지를 생성하여 현재 소통량을 그래프로 보여줍니다.

2) 설정 파일이 무엇인가 알아 봅니다.

# rpm -qc mrtg-2.9.17-8
etc/mrtg/mrtg.cfg

etc/mrtg/mrtg.cfg 가 설정 파일임을 알수 있습니다.

3) 패키지의 구성 파일을 봅니다.  

# rpm -ql mrtg-2.9.17-8

좌악 넘어 갔습니다. 아래처럼 파일로 받아서 에디터로 보든가 뒤에 |more 를 써서 보면 됩니다.

# rpm -ql mrtg-2.9.17-8 > mrtg_gl_list
# rpm -ql mrtg-2.9.17-8 | more

위에 몇줄을 보면

/etc/mrtg
/etc/mrtg/mrtg.cfg    //**. mrtg 설정 파일 입니다.
/usr/bin/cfgmaker     //**. mrtg 설정 파일을 만들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usr/bin/indexmaker
/usr/bin/mrtg
/usr/bin/rateup
/usr/lib/mrtg2
/usr/lib/mrtg2/BER.pm
/usr/lib/mrtg2/MRTG_lib.pm
/usr/lib/mrtg2/Pod
/usr/lib/mrtg2/Pod/InputObjects.pm
/usr/lib/mrtg2/Pod/Parser.pm
/usr/lib/mrtg2/Pod/PlainText.pm
/usr/lib/mrtg2/Pod/Select.pm
/usr/lib/mrtg2/Pod/Usage.pm
/usr/lib/mrtg2/SNMP_Session.pm
/usr/lib/mrtg2/SNMP_util.pm
/usr/lib/mrtg2/locales_mrtg.pm
/usr/share/doc/mrtg-2.9.17  //**. 관련 문서가 있는 디렉토리 입니다.
  

4)이제 거꾸로 특정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있나 알아 봅니다.

# rpm -qf /etc/mrtg/mrtg.cfg
mrtg-2.9.17-8

# rpm -qf /usr/bin/cfgmaker
mrtg-2.9.17-8

즉  rpm -qf 명령어로 어떤 파일이 어떤 rpm 에 속해 있는지 모두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것들도 해 보세요.

# rpm -qf /bin/ls
fileutils-4.1.9-11

ls 란 명령어는  fileutils-4.1.9-11 라는 rpm 패키지에 들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rpm -qf /bin/cat
textutils-2.0.21-5

cat 란 명령어는 textutils-2.0.21-5 에 들어 있습니다.

이제 레드햇 리눅스의 패키지가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 되어 있는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임의의 어떤 파일이 나오더라도 어떤 패키지에 속했있고(-qf 옵션),그 패키지가 어떤 패키지인가 알수있게
되었습니다.( -qi 옵션)

4. 이제 mrtg 를 운영에 대한 문서는 http://www.mrtg.co.kr/,http://kldp.org 등에서 찾아봅니다.
snmp나 라우터 등 자신이 사용하는 네트웍 장비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 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1) #/usr/bin/cfgmaker public@라우터주소 > /etc/mrtg/mrtg.cfg
하면 mrtg.cfg 가 만들어 집니다.

public은 커뮤니티 이름으로 기본값이며 장비에서 이 이름을 다르게 설정 했다면 알아 보아야 합니다.  
라우터주소는 보통 gateway 주소와 동일 합니다.

2) cat /etc/mrtg/mrtg.cfg 해서 보면 기본적으로 /http/mrtg 디렉토리에 자료가 들어가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를 만들어 주거나 cfgmaker 할때 Workerdir 옵션을 주거나 만들어진
/etc/mrtg/mrtg.cfg 를 수정해 주면 됩니다.

3) # /usr/bin/mrtg /etc/mrtg/mrtg.cfg
해주면 mrtg 가 시작 됩니다.

** 이 rpm으로 설치할경우 crontab에까지 등록 됩니다. # cat /etc/crontab 에 보면 등록된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이제 /home/http/mrtg/ (설치시 Workdir 기본값)내의 html 에 모니터링한 결과물들이 나오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리눅스 rpm 명령어 활용(1): MRTG 설치 정인배 2002.12.14
DeX 님의 시간 동기화 스크립트를 편하고 안정적으로 변경한 리눅스용! [4] Dopesoul 2002.12.13
SetEnvIf 와 SetEnvIfNocase 의 차이 [7] Dopesoul 2002.12.13
[re] 저의 최종의견 입니다. [5] Dopesoul 2002.12.17
누군가 우리서버를 공격하고 있을때 응급처치! [13] Dopesoul 2002.12.13
srpms, alpha, i386 , i686 이 의미하는 것은? [1] Dopesoul 2002.12.12
레드햇(redhat)리눅스에서 rpm 관리 명령어 정인배 2002.12.09
[FreeBSD] Proftp + MySQL 연동 설치하기 [2] file DeX™ 2002.12.09
apache2 + mod_jk 100번의 닭질 끝에 찾아가는 사이트 DukeEYS 2002.12.09
mod_gzip 적용시 php 인클루드를 실패해서 포기하신분 보세요 [2] DukeEYS 2002.12.08
Zend Optimizer Full Pass Setup [3] DukeEYS 2002.12.08
오래간만에 찾아뵙는군요^^ [2] Dopesoul 2002.12.08
계정 등록 스크립트 [8] 편리 2002.12.05
[FreeBSD] 자동으로 시간 맞추기.. [1] DeX™ 2002.12.04
[계정삭제 스크립터] 편리님이 만드신 계정추가랑 연동됩니다. [4] file 김동현 2002.12.04
FTP 를 이용한 원격 백업 받기 [5] 최종우 2002.12.04
cron과 rsync 그리고 replication 을 이용한 데이터 백업 [3] 최종우 2002.12.03
cron을 이용한 자동 백업 받기 최종우 2002.12.02
리눅스 보안 : 기초적인 방화벽 : portsentry 설치하기 [2] 정인배 2002.11.29
[FreeBSD] qmail+mysql+vpopmail+qmailadmin 설치 [1] DeX™ 2002.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