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저는 현재 무선랜으로 인터넷을하고있고 학교에서도 무선랜을 자주이용합니다.
무선랜 구현방식은 몇가지가 있으나, 이해하기 쉽습니다.

1:n 형(용어는 제가 정의한것임)

1대의 AP(Access Point : 전파송신장치)에 n 대의 클라이언트가 묶입니다.
대역폭은 n/1 로 공유하게 됩니다. AP 에 라우터기능이 있어야 여러대가 RealIP 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렇지 않은경우 무선랜 공유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Nespot 형

한국통신에서 네스팟이라는 서비스를 합니다. 대학가를 중심으로 망이 구축되어있는것이
보편적이며, 패스트푸드, 금융가 등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중심으로 구축되어있습니다.
MAC 인증방식과 ID 인증방식이 있습니다.

1:1 형

무선랜카드 2개로 컴퓨터간에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전문용어가 있으나, 기억나질 않습니다.
무선랜 관련서적은 2권정도 보았는데.. 대체로 이론에 대해서만 설명하더군요
크로스케이블대신 Air Material (공기중으로 전파가 전달) 을 이용합니다.

무선랜의 특성

무선랜은 동심원 형태의 전파를 발신합니다. 특정한 지향이나 목적지방향으로만 전파를
송출할수 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보안에 취약한점이 있으나, 보통사람들은 안심해도됩니다
정부나 군을 상대로 -_- 싸울때는 무선랜은 위험합니다.
(여기서 이해하기 쉽게 연못에 돌을 던져보시면 동심원이 쭉 생기죠? 수학적으로 동심원이란
중심을 공유하는 반지름이 서로 다른 원입니다.)

전송거리의 영향

전송거리는 통과물질 (Through material) 에 따라 틀립니다. 금속재질의 경우 투과율이 매우
낮고, 부도체일경우 통과율이 높습니다.

전파혼신

전파혼신을 방지하기위해 채널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각 나라마다 채널이 틀립니다.

블루투스는?

블루투스는 전송률이 낮은 (1mbps 미만) 무선방식으로써, 휴대기기의 간편한 업데이트.
무선 핸즈프리, 완구류 에 도입되기위해 개발되었으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해
랜을 공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나 전송률이 낮기때문에 큰 대역폭을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또한 가격이 너무 비쌉니다.
비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