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iis+php+mysql 강좌에 이어 아파치설정 두번째 강좌를 올립니다.
이건 apache + php+mysql 설명이 아닙니다.  그냥 apache 설정 강좌입니다. 아마 제로보드 설치하시는분들이 apm 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듯해서..    
제가 제로보드 무료로 잘 사용하고 있고 스킨까지..그래서 나도 뭔가 하나 보답하고 싶어서 여기 올립니다.
<시작^_^>
첫째 apm 통합버젼 설치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인터넷 사이트에 apm 통합버젼을 제공하고 있는곳이 있더군요.
그러나 단점이 많습니다.   걸핏하면 아파치가 예고없이 종료되는둥.. 등등.    물론 컴을 서버로만 운영하고 다른 작업없이 그냥 모니터 꺼놓고 있으면 그럴리도 별로 없겠지만.. 개인은 기업이 아니니 자기컴으로 작업도 하고..서버도 운영하고 그래야겟죠?.  ..  그리고 수시로 업그레이드가 안되고 ...  관리자가 아파치 mysql 의 오류등에 대해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둥.. 결함이 많습니다.

일단 아파치 설치하는건 설명안해도 되리라 믿습니다. 단...
윈도우 98에서 아파치를 설치할때 restart 가 잘 활성화가 안되는등.. 아파치를 완전히 작동시키기 어렵고 기타등등 불안정한 면이 많습니다.  
전 windows xp 의 경우로 설명드립니다.  제컴과 같다는 가정하에서..  

내가 아파치에서 설명드릴려고 하는건 아파치의 설정 부분입니다.
아파치를 설치해놓고 보면 conf 라는 폴더안에 httpd.conf 라는 파일이 보입니다.
이걸 몇가지 설정해주면 끝나는건데..  정말 수많은 인테넷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프로세서가 어떻고..timeout 을 300으로 설정해야 되는니..keepalive 를 on 이나 off 로 해야 되는니.. 하는 keepalivereqests 가 어떻고.. 정말 화려하게 설명들 해놨더군요..ㅎㅎㅎ   고맙게도 ? 말이죠

하지만 여러분..다 쓸데없는 얘기입니다..그런 설명 올리신분한테는 미안하지만요..
그냥 기본설정 그대로 놔두면 됩니다...  또 .. 단 !

그러한 설정들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어떨때?
자기컴 서버에 하루 접속자수가 수천.수만명이 되고 데이터베이스가 숨이 가빠서 헉헉 거리고.. 동시접속자수가 엄청나서..yahoo 처럼? 말이죠/  접속이 안되서 .. 접속을 기다려야 되는둥.. 정말 자기컴 서버가 똥..오줌을 못 가릴때..ㅎㅎ   이럴때 필요합니다.

근데 그럴일이 얼마나 있을까요?  또 있으면 그때가서...천천히 찾아보면 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어려운거 설명하는데는 일가견이 있는 사람들이니깐..^_^

<이제 시작입니다..죄송..>
다음의 몇가지만 설정하면 됩니다.  ..  아이구 ... 이번 페이지에는 다 설명이 어렵겠네요.

1. 첫번째.  
Crimson Editor(기냥 내가 사용하고 있으니까)  열어서 httpd.conf 파일을 엽니다.
212째줄쯤에ServerName 이라고 있습니다.  ~쯤이라고 표현한건 버젼에 따라 줄수야 달라지겠지만 그 근처에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건 설치과정에서 물어보니깐 적었으리라 생각 되지만 수정할려면 여기서..
그리고 ServerName 에 127.0.0.1 이라고 하든 또는 도메인네임(***.codns.com   ***.w3ip.com  ***.com 등등)
차이가 없다고 하는겁니다.  그냥 잘 작동합니다.원래 클라이언트에 되돌려 주는 서버이름이라고 되어있는데..
어떤이들은 127.0.0.1 개발용으로만(또..어려운? 얘기)  사용하고 도메인 네임을 적는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난.. 어떤 차이점도 알 수 없습니다....   이부분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그냥 올립니다.

2.두번째
701째줄쯤에 AddDefaultCharset 뒤에 EUC-KR   이라고 적습니다.
이건 메인페이지를 보여줄때 기본값으로 html 을 한글로 보여 준다는 뜻입니다.
처음 apache 를 설치하고 htdocs 안의 많은 html 을 삭제하고 한글문서만 확장자를 .html 로 바꿔서 http://localhost 로 불러보면 분명히 한글 문서인데도 소련어로 보일겁니다.
그건 바로 이 부분을 설정 안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위와같이 바꾸고 나서 apache 를 다시 작동시켜도 http://localhost 로 불러보면 여전히 소련어로 보일겁니다. ...  신기하죠?..(이거 설명한곳이 없어서..며칠을 머릴 쥐어뜯어며..ㅎㅎ)
바로 http://localhost 가 아니라 http://127.0.0.1  로 접속해야 합니다. 둘다 자기컴이지만 http://localhost 는 앞의 설정을 그대로 기억하고 저장했다가 계속 그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니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확인 할려면 반드시 http://127.0.0.1  로 접속해야 합니다.
이건 나중에 php를 연습할때 마찬가지입니다.

3.세번째
320째줄쯤에 DirectoryIndex 에 처음보면 index.html   index.html.var  두개가 있을겁니다.
이걸 그대로 놔두고.. 첫페이지 index.html 확장자를 index.htm 으로 바꿔보면 ..
http://127.0.0.1  이렇게 불러도 페이지가 나타나질 않고 그냥 무슨..폴더만 죽 나타날겁니다.
즉.  .htm 이라는 확장자를 인식못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DirectoryIndex 에 원래 두개 있는것 뒤에 다음과 같이 추가 합니다.(콤마로 구분하면 안됨 ..그냥 한칸씩 띄우고)    index.htm index.shtml index.php index.cgi index.php3  index.pl   이렇게요...  .php 는 어차피 나중에 php 설치하면 추가해야하기 땜에 이렇게 미리 추가 한것 뿐이죠..

4.네번째
198줄쯤에 ServerAdmin ***@hanmail.net
자기 메일 주소를 적습니다...  물론 다 알지만 .. ㅎㅎ   왜 적는지를 모르죠?  이건 나중에 자기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자기 메일로 우편이 발송됩니다.  (메일 서버가 있어야만 하는지는 아직모름)

5.진짜는 지금부터 설명하는 두가지입니다....
  진짜중 첫번째 입니다.  홈디렉토리 수정..
228줄쯤에 DocumentRoot 라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파치가 설치된 경로로 되어있습니다.
아파치가 c:/apache2  이렇게 설치되어 있으면
DocumentRoot "c:/apache2/apache group/apache2/htdocs" 이렇게요.

하지만 난 내 홈페이지를 c:/ 드라이버 안의 apm 폴더안의 htdocs 안에다가 저장해 놓았다고 합시다.
그러면 DocumentRoot  "c:/apm/htdocs"   이렇게 하면 되는데 문제는 이것만 설정해가지고는 작동하지 않는데 있습니다.   바로 몇칸 아래..
<Directory "c:/apache2/apache group/apache2/htdocs">   ..이것까지
<Directory "c:/apm/htdocs">    이렇게 바꿔야 제대로 바뀐 경로가 적용됩니다.

여기까지야 아시는 분들이 많을테고..    apache 서버에서 자료실 운영이나 친구들에게 계정을 나눠주기 위해 설정해야 하는 부분..
즉 290줄쯤에 User 설정..  이건 정말 이지 이렇게 좋은 서버를 왜 활용하지 않고 설명도 소홀히 하는지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가령 내 컴에 c:/apm/htdocs  여기서는 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많은 자료들이 d:/ 드라이버 안에 저장되어 있다고 합시다.  그럼 그 자료들을 웹상에서 보여줄때마다..   필요한 자료들을 c:/apm/htdocs 안에다 넣어놔야 할까요?
그럴 필요가 전혀없이 자료실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즉 d:/ 드라이버 안에 movie  music ... 등등의 자료 폴더가 있다고 합시다.(주의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름을 영어나 숫자로 바꿔야됨.  한글은 웹상에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많음)
그럴경우  UserDir "d:/"   이렇게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movie 폴더안의 Oyang.asf 를 웹상에서 보여주고 싶다고 합시다.
그러면 웹상에서 http://내컴주소/~movie/Oyang.asf 하고 엔터치면 바로 영화가 나타나죠.
아님 게시판등에서 자기컴 자료실에 있는 음악등등을 서비스하고 싶다고 할때 위와같이 링크만 걸어주면 되죠.

그러면 모든 자료를 htdocs 안에 옮기지 않고도 필요할때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나는 유동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바꿔주는 도메인이 있다고 합시다(예를들어 http://sarang.com. 근데 친구들이 자기홈을 운영할때 일년에 몇만원씩 내고 유료 사이트에 가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바로 내컴에서 계정을 나눠주면 되죠..  a 라는 친구와 b 라는 친구가 있습니다.
c:/ 드라이버 안에 c:/apm/users  이렇게 폴더를 만들어서 users 안에 aaa  와 bbb 라는 폴더는 만들어서 aaa 는 a 친구에게 bbb는 b 친구에게 나눠주고 그안에서 친구들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게 하고 싶다면..

UserDir "c:/apm/users"   이렇게만 해주면 됩니다.
그러면 a 친구는 자기 홈페이지를 ftp 로 내컴의 aaa 폴더안에 모두 넣어놓고..웹상에서
http://sarang.com/~aaa     이렇게만 불러오면 끝입니다.  그러면 aaa 폴더안에 있는 a 라는 친구의 index.html 이 쨘~ 하고 나타나죠..

그러면 나는 내컴에 자료실도 운영하고 싶고 친구들한테 계정도 나눠주고 싶고 또 다른 주소로 여러개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싶다고 하면 어떻하죠?...   마찬 가지로
UserDir "d:/"  
위와같이 해놓고 d:/ 드라이버안에 aaa bbb 등의 폴더를 만들면됩니다.
그러면 http://sarang.com/~music/haru.asf   하면 음악이 나오고
      http://sarang.com/~aaa     하면 a 라는 친구의 홈페이지가 뜨죠..

휴... 이제 끝난거 같네요.. 전 전문가가 아니라 제가 쓴 글 부분에 대해서만 의문이 있으시면 http://yop.wo.to 로 연락 주시기 바람..   정말 ..아무것도 아닌거 같은거 그렇지만 꼭 필요한거..  그리고 너무 쉬워서 사람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거 ..  정작 초보자들이 알고 싶어하는게 바로 그런거라는걸 사람들은 왜 간과하고 넘어갈까요?
이까지 알아내는 이 과정이 넘 힘들어서 다시는 나 같은 사람들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 올렸습니다.


* DeX™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3-05-09 10:12)
제목 글쓴이 날짜
[진자 유용한] www 자동으로 붙여주기 [6] Dopesoul 2003.05.24
[간단팁] 윈도우즈 2003 에서 mysql 사용할때.. [5] 오종선 2003.05.22
ie60이상버전의 개인정보기능으로 인한 서비스문제 [2] 날파리 2003.05.21
한컴 리눅스 2.2 apach php mysql phpmyadmin zeroboard 서버구축기 예전에 쓴글 약간 수정판 입니다. [6] 한돌 2003.05.19
IIS 5.0 WebDAV Buffer Overflow 취약점에 대한 공격빈도 증가 DearMai 2003.05.17
커널에러 복구 하기~~~ [5] 서인구 2003.05.11
윈도2000 서버에서 DNS 서버 운영하기 file DearMai 2003.05.10
apache 98 % 활용하기 ! (윈도우버젼) [13] 이성헌 2003.05.09
DNS서버 만들기 [4] 제르디스™ 2003.05.04
NSLOOKUP 으로 서브도메인과 메일서버 알아보기 [6] 환군+ 2003.05.02
MASQUERADE 클라이언트 IP 자동으로 부여해주기 [1] 엔포게이트 2003.05.01
MASQUERADE 클라이언트 컴퓨터 인터넷 되게..^^; [4] 김도진 2003.04.25
APM_Setup4에서 CGI 쉽게 설치하기 [3] RedEye 2003.04.14
(더 성공률 높은)Apache에서 ASP돌리기(초간다안!!) [6] okw1003 2003.04.09
mysqldump를 이용해서 원하는 조건의 record만 뽑아내기 [2] 겨울늑대 2003.04.08
mysql DB 주기적 자동 백업 하기 [8] 김령현 2003.04.04
md5 암호화 알고리즘을 488bit blf 알고리즘으로 바꾸기 [17] 김령현 2003.04.04
센드메일 에라타.. 선장 2003.04.01
특정 유저만 su root 허용 군고구마 2003.04.01
서버의 아파치보안 테스트 해보세요 [12] 김령현 2003.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