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읽어 보시고 잘 모르는것 있더라도 질문하지 마시고^^  책 한권 사가지고 열심히 연구해 보세요...
질문은 mysql 사이트가 많으니깐 .. 음..그곳에서..
그리고 편의상 데이터베이스 는 '디비'로 줄여서 부르기로 함.

..........................................시작......................................

<mysql 사용>

<Dos 사용>

// 자기컴에서는 DOS 로 접속 : 시작 > 실행 > command enter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cd 한칸띄우고 ..)     cd   : 최상위 폴더로 이동
// c:/apm/server/mysql     과  c:/apm/server/mysql/bin/mysql 을 구별.
//앞의 mysql 은 폴더이고 뒤의 mysql 은 명령어임.

<유료계정에서의 텔넷 접속>

//유료계정의 텔넷으로 접속한 mysql 실행경로는 자기컴과 다름.
  유료계정의 텔넷접속 : 시작 > 실행 > telnet > open > 대상에 yop.wo.to   enter
  로그인후 : [yop@free1 yop]$      여기서 바로 mysql 명령어 사용가능.백업,복구 등.
  유료계정에서는 mysql 로 이동하는 절차가 필요없음. 리눅스에서 mysql 의 경로를 path 에 등록 시켜놓았으므로..
  최상위 폴더에서 바로 mysql 명령어 사용 가능.
  
<내컴에서 mysql 로 이동>

//mysql 폴더로 이동  :  c:>cd apm    cd:apm>cd server   c:apmserver>cd mysql   c:apmservermysql>

//bin 으로 이동  :  c:apmservermysql>cd bin     c:apmservermysqlbin>

//디렉토리보기   :  c:apmservermysqlbin>dir

<mysql 접속>

//mysql 로 접속  :  c:apmservermysqlbin>mysql      mysql>
  mysql>use aaa                 //aaa 라는 디비로 접속.
  
//mysql 접속 두번째 방법: c:apmservermysqlbin>mysql aaa      aaa>   //aaa라는 디비로 바로 접속.
                          c:apmservermysqlbin>mysql mysql    mysql>  //mysql 디비로 바로 접속.
                      


<유료계정에서의 cgi 게시판으로 이동-yop.wo.to 의 경우>

//[yop@free1 yop]$cd public_html
//[yop@free1 public_html]$cd zboard
//[yop@free1 zboard]$


<유료계정에서의 mysql 접속>

//[yop@free1 yop]$ mysql -uyop -p yop
  Enter password :


<디비 사용>

//디비 보기 : mysql>show databases;               //bin 아래의 mysql
  초기 mysql 의 디비중 mysql 이라는 디비는 mysql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모든 디비의 권한설정을
  담고 있는 디비 즉,마스터 디비 이다.
  
  mysql 디비의 테이블중 user 테이블에서 설정한 권한은 mysql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디비에 적용됨.
  mysql 디비의 테이블중 Reload_priv,Shutdown_priv 가 Y 이면 mysql 서버 재기동,종료권한가짐.
  mysql 디비의 테이블중 Create_priv,Drop_priv 값이 Y 이면 새로운 테이블,생성,삭제 권한 가짐.
  mysql 디비의 테이블중 db 테이블은 사용자의 개별권한 설정  'Y' 'N'  

//해당 디비 사용 :mysql>use mydql               //mysql 디비를 사용하겠다는뜻.

//해당 디비의 테이블 보기 : mysql>show tables;
//테이블 구조 정보보기    : mysql>desc db;            //테이블중 db 테이블의 구조 정보를 출력하란뜻.
                                            show tables;를 거치지 않고 mysql> 에서 바로해도됨.
                                            
//테이블 구조 정보보기 두번째 예 : mysql>desc user;    //테이블중 usere 테이블의 구조정보를 출력하란뜻.
  필요한 구조 정보만 보기 : user 테이블안의 구조정보가 너무 많을경우 필요한 구조 정보만 뽑아서 볼려면..
  mysql>select host,user,password from user;   하면 host ,user,password 만 나타남.


<디비 생성과 삭제>

//디비 생성   : mysql>create database ddd;     //ddd 라는 디비 생성.
//디비 생성 두번째 방법 : bin>mysqladmin create ddd   // 뒤에 ; 붙이면 안됨 ,붙일경우 ;가 이름에 포함.
                          또는  : bin>mysqladmin -uroot -p create ddd
이방법은 mysql client 를 사용하지 않고도 명령어만으로 디비 생성하는법.
                            
//디비 삭제  : mysql>drop database ddd;      //ddd 라는 디비가 지워짐.

//상식  : mysql 이라는 디비가 생성되면 mysql 디렉토리밑의 data 디렉토리밑에 새로 생성된 디비명과
  동일한 이름의 하위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

<디비 백업과 복구>

//디비의 백업과 복구는 bin 에서 함.
//유료계정은 계정마다 차이가 있으나 계정 가장 상위폴더에서 함.
  (예 : [yop@free1 yop]$mysqldump -uyop -p yop > aaa.sql )
//이하 내컴 서버 기준 설명.

//백업   : bin>mysqldump -uroot -p zboard > zzz.sql    //zboard 라는 디비를 zzz.sql 이라는 파일로 저장.
     백업 파일은 bin 폴더 안에 생김.
//복구   : bin>mysql -uroot -p jsboard < zzz.sql       //zzz.sql 이라는 백업 파일을 jsboard라는 디비로 복구.
    복구시 첨부파일은  data 폴더안에 복구   data -> data 로 덮어씌우기 함.
    복구할 파일을 미리 bin 폴더안에 넣어두어야 됨.
    
<유료계정에서의 백업과 복구>

//백업  :  [yop@free1 yop]$mysqldump -uyop -p yop > aaa.sql  
  생성되는 위치 yop 계정의 최상위 폴더에 생성됨
  Mail
  mysql_yop
  public_html
  과 나란히 ..
  
//복구  :  
  먼저 aaa.sql 을 위의 최상위 폴더로 이동시킨후.
[yop@free1 yop]$mysql -uyop -p yop < aaa.sql

<유료계정에서의 모드변경>

//주의  : 유료계정의 복구시 data 폴더도 같이 복구 하여야 되나 data 폴더는 ftp 에서 mode 변경이 안되어서 다운이
    안되므로 <? chmod("data",0777); ?> 를 mode.php 로 zboard 폴더안에 ftp 로 올리고 http://yop.wo.to/zboard/mode.php로
    불러오면 data 폴더의 모드바뀜.이후 다운 가능. 하위폴더까지 모두 변경위해서는
    <? chmod("data",0777)-R; ?> 하면됨.
    
<유료계정에서의 모드확인>

[yop@free1 yop]$cd public_html
[yop@free1 public_html]$cd zboard
[yop@free1 zboard]$ ls -al            //zboard 안의 모든 폴더의 모드 보임.
[yop@free1 zboard]$ ls -al data       //zboard 안의 data 파일안의 모드만 보임.
[yop@free1 zboard]$cd data
[yop@free1 data]$ ls -al              //마찬가지.
    
<비밀번호 변경 또는 비번 잊었을때>
1.mysql>use mysql     또는 bin>mysql mysql          // 같은 방법.
2.mysql>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1111') where user='root';    //비밀번호 1111 로 변경됨.
  mysql>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 where user='root';       //비밀번호 없는걸로 변경됨.

//두번째 방법 :
  mysql>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1111')
       ->where user='root' ;
      
    
3.mysql>q
4.bin>mysqladmin reload            //이렇게 하면 변경됨.
5.bin>mysql -uroot -p
  password : 바뀐비번으로 접속.
  
6.참고
  bin>mysqladmin -uroot -p reload  //p 에는 기존비번.
  bin>mysqladmin -uroot reload    //기존비번이 없는경우.
              
<주의--유료계정에서의 비밀번호 변경>
유료계정에서 디비의 비번 변경한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변경후
zboard 의 config.php 안의(세군데) 비번도 같은걸로 변경해줘야 제로보드 사용가능함.

<계정나눠주기 -- 사용자 아이디와 비번추가>

//bin>mysql mysql;
또는 bin>mysql     mysql>use mysql   //끝에 ; 없어도 됨.

//mysql>grant all privileges on aaa.* to chansu@localhost identified by '1234' with grant option;
//aaa 는 디비명(미리만들어두어야됨) chansu 는 사용자 아이디 1234 는 사용자 비밀번호.
또는 대문자로 아래와 같이
  mysql>GRANT ALL PRIVILEGES ON board.* TO nado@localhost IDENTIFIED BY '0000' WITH GRANT OPTION;

//위와 같이 하면 aaa 라는 디비는 아이디 chansu 그리고  board 라는 디비는 아이디 nado 라는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음.
  
//확인 .. 1.mysql>use mysql      
초기 mysql 의 디비중 mysql 이라는 디비는 mysql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모든 디비의 권한설정을
  담고 있는 디비 즉,마스터 디비 이다. root 도 여기 등록됨.
  
          2.mysql>select * from user;  
            또는 mysql>select host,user,password from user;

<사용자 삭제>

//mysql>use mysql
  mysql>delete from user where user='chansu';
  

<사용자 등록의 다른 방법.. 세부설정 가능 'Y','N')

1.db 에 등록

mysql>insert into db values('%','aaa','chansu',''Y','Y','Y','Y','Y','Y','Y','Y','Y','Y','Y','Y'+ ');
//Y 의 개수는 db 안의 개수와 같아야됨.
2.확인 :
mysql>select * from db;
3.소유자 등록(pass)
mysql>insert into user(host,user,password)
      ->values('+ 'localhost','chansu','password('1234'));
4.확인 :
mysql>select * from user;


//아래와 같이해도됨.
mysql>insert into db
     ->values('%','aaa'+ ','chansu',
     ->'Y','Y','Y','Y','Y','Y','Y','Y','Y','Y','Y','Y')
     -> ;
    
mysql>insert into user
      ->(host,user,password)
      ->values('localhost','chansu','password('1234'))
      -> ;
      
      
      
<테이블생성>
예) aaa 디비안에 생성

1.이동
mysql>use aaa

2.생성
mysql>create table ttt(
     ->name CHAR(8),
     ->id VARCHAR(10) NOT NULL,
     ->email VARCHA(40),
     ->sex CHAR(1),
     ->milage INT,
     ->level CHAR(1),
     ->PRIMARY KEY(id)
     ->);
    
3.확인
  mysql>desc ttt;
      
4.테이블 삭제
mysql>drop table ttt;

//테이블 생성 두번째 방법

1.다음을 test.sql 로 저장

       create table ttt(
       name CHAR(8),
       id VARCHAR(10) NOT NULL,
       email VARCHA(40),
       sex CHAR(1),
       milage INT,
       level CHAR(1),
       PRIMARY KEY(id)
       );    
          
2.bin>mysql -uchansu -p1234 aaa < test.sql

5.테이블 수정.
mysql>use test;
mysql>update member set level='7' where name='a사용자';

member 은 테이블이름 level 은 필드명 a 사용자는 이름.

기타 응용해볼것.


    



제목 글쓴이 날짜
주소 보여주기 시를 때 제가 자주 쓰는 방법 이건 조회수 빵이다 ㅡ0ㅡ; [21] ☆좀비파우더™ 2003.01.28
한페이지에서 여러개의 크롬리스 창 띄우기..(ByKlein Chromeless Window) [3] file 아린~★ 2003.01.29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드시겠습니까? [소스분석용] [12] RedEye 2003.02.02
KBS VOD 최상위로 만들기 소스 (필요 부분만 수정) [3] kimbilly 2003.02.02
최상위로 만들기 소스 [13] 앳플군 2003.02.04
음악 듣기 소스 당근당근 2003.02.04
미디 랜덤으로 듣기 완벽해결! [4] K.샘 2003.02.05
링크된 텍스트 클릭지 위로 스크롤되는 예제확인 [1] ▩윤미 2003.02.06
링크된 텍스트 오버시 위로 스크롤..예제 확인 [2] ▩윤미 2003.02.06
[허뎝이즈]간단한 테트리스 만들어 보기^_^[허뎝이 수정했음돠] [11] 허졉이즈 2003.02.06
흐르는 내용 강좌 [4] 라엘 2003.02.10
레이어를 이용한 초간단 갤러리를 만들어봅시다. [6] 모라미 2003.02.15
요청해오신 레이어 무조건 중앙에 열리기 와 클릭하는 곳에 열리기 두가지 소스입니다. [4] 모라미 2003.02.25
[수정판] 갤러리 이미지 드레그 이동 가능한 필터 사용 스르륵 버젼 ^^ [10] 모라미 2003.02.15
페이지 로딩중 효과 [7] 깜보 2003.02.16
[수정 및 추가 설명] 음악 듣기 소스 [4] 당근당근 2003.02.17
개판 오분전 select menu......... [10] 미친개 2003.02.18
폰트 크기를 방문자가 자유자재로 바꾸도록.. 깜보 2003.02.19
통합 검색엔진 소스입니다. [5] 철혈단 2003.02.19
개판 오분전 이미지 슬라이더 [5] 미친개 200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