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마스터 팁

http://www.dnip.net 은 무료 도메인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사이트는 영문이지만 한국 기업이 운영하고 있어서 속도도 상당히 빠릅니다.

DNIP.NET에서 제공하는 도메인은 다른 무료도메인과는 다르게 서브 도메인을 마음껏 셋팅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곳은 얼마 되지 않지요. 이렇게 마음껏 서브도데인을 (무료로)셋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곳이 한군데 더 있습니다->와우디엔에스(http://www.wowdns.com)은 실시간으로 유동 IP를 소유도메인(www.gomdorifoo.com 등등)으로 맞춰 주기에 DNIP>NET보다 좀 더 좋습니다.
물론 DNIP.NET도 수동으로 바뀐 아이피를 지정하면 유동IP에서도 완벽하게 운영할수 있습니다.

오늘 강의(?)는 윈도 2003 DNS를 이용해 DNIP.NET 서브도메인을 추가하는 방법 입니다.


dnip.net의 update 메뉴
먼저 http://www.dnip.net 에서 sign up을 하신 다음 update 메뉴로 들어갑니다.
host information에서 Sub Nameserver(NS.xxx.dnip.net)을 선택합니다.]

서버구성 마법사
시작 ->관리 도구 ->서버 구성 마법사를 차례대로 선택합니다.

DNS 서버를 선택
DNS 서버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저는 이미 DNS 서버를 구성 하였습니다.

DNS 마법사
시작 ->관리 도구 -> DNS  ->동작 ->새 영역을 차례대로 클릭 합니다.

주 영역을 선택
주 영역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영역의 이름
도메인을 적어주면 됩니다.


아무거나 선택하면 됩니다.


마침을 누릅니다.


영역이 추가 되었습니다.


왼쪽의 정방향 조회 영역-영역을 우클릭하고 속성에 들어가 주 서버에 도메인을 적어 줍니다.


이름 서버탭을 클릭하고 추가를 클릭한 다음 서버 정규화된 도메인에 도메인을 적어 줍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IP가 자동으로 추가될 것입니다.

동작메뉴에서 서버 데이터 파일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DNS 관리 콘솔의 오른쪽 빈 공간에 우클릭 후 새 별칭(CNAME)을 클릭합니다. 이 경우는 DNS서버가 동작하는 컴퓨터에 서브 도메인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고, <i>다른 컴퓨터를 가리키는 서브 도메인을 추가하려면 새 호스트(A)를 사용</i>합니다.
그 후 사용하고자 하는 서브 도메인명을 적습니다. 대상 호스트에는 자신의 도메인을 적습니다.
동작메뉴에서 서버 데이터 파일 업데이트를 클릭합니다.


꽤 많이 등록되어 있네요 ^^;


NSLOOKUP을 이용해 도메인이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시작->실행->nslookup을 차례대로 합니다
여기서 원하는 도메인들을 적어주면 해당 도메인이 어떤 IP를 가리키고 있는지 알수 있습니다.


아파치 서버의 버추얼 호스트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httpd.conf의 최하단에 추가합니다.
-------------------------------------------------------
NameVirtualHost *

<VirtualHost *>
        ServerName ubve.u2em.dnip.net
        ServerAdmin u2em(@)naver.com
        DocumentRoot C:/user/ubve
</VirtualHost>

<VirtualHost *>
        ServerName blog.u2em.dnip.net
        ServerAdmin Yus1990(@)hitel.net
        DocumentRoot C:/user/blog
</VirtualHost>
------------------------------------------------------
http://ubve.u2em.dnip.net 으로 접근하면 c:/User/ubve 아래의 파일들을 보여주고
http://blog.u2em.dnip.net 으로 ㅈ접근하면 c:/user/blog 아래의 파일들을 보여준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잘 되는지 확인을 합니다.
c:/user/blog에 index.html을 만듭니다.
-----------------------------------------------------
BLOG
-----------------------------------------------------
c:/user/ubve/index.html 을 만듭니다.

UBVE



리사이즈를 해서 뭉게지기는 했지만 접근한 도메인마다 다른 페이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새 호스트를 추가할 때의 대화 상자입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웹호스팅 서버세팅 쉽게하기 팁[윈도우 메모장 이용] [3] 김영남 2002.05.14
텔넷에서 다른 계정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접근 막기 [4] 김영남 2002.05.11
Redhat 7.3 나왔습니다. [20] 야쿠자 2002.05.10
[알아서 나쁠것없는 10원짜리 팁!] 수십 수백명사용자의 일괄생성 방법! [6] 임현 2002.05.09
Redhat7.2에서 apache,mysql,php,zend,gd,freetype,giflib,jpeglib,zlib 설치하기 [14] file DeX™ 2002.05.04
개인서버구동시 서버커널 메모리로....(렉생기시는분들 강추) [2] 홈1004 2002.05.03
DB 디자인 툴 소개 [2] 석이 2002.04.21
Apache2.0.35 + php4.3.0-devel 설치하기;; [15] Cksoft 2002.04.08
[mysql을 하자 3] DB서버 원격 사용자,DB 만들어 사용하기 [5] 비바람 2002.03.13
[mysql을 하자 2] (pai님도 하신^^)사용자와 db를 맹글자 [4] 비바람 2002.03.13
[mysql을 하자 1] mysql 종료와 재부팅 비바람 2002.03.13
MySQL 사용자 계정주기 [10] pai 2002.03.12
리눅스 아주 간단한 사용자 계정 주기-_- [7] i- 2002.03.12
아래 pai님 도메인셋팅 강좌 세부파일들 예제 :) [3] 아르체 2002.03.06
근사모의 APM_steup3설치 법 [5] 뽀유★ 2002.03.01
리눅스서버 : 도메인 가진 사용자 추가하기 (텔넷,FTP,이메일 사용) [5] pai 2002.02.27
전자우편만 사용할수 있는 계정추가하기 [1] pai 2002.02.25
아파치 가상 유저 설정하기 [6] i- 2002.02.24
네임서버 설정 [15] 쇠물택 2002.02.24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간 맞추기 [2] 쇠물택 200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