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제가. 1.5 관련 로드맵중 다시 보고싶은 부분이 있어서 봤는데.

http://www.xpressengine.com/index.php?vid=blog&mid=textyle&document_srl=19744850

해당 게시판에 써진 리플을 보고 솔직히 조금 놀랐습니다.
개인적으로 1.5의 가장 큰 지향점은,

해외에 데뷔하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XE 소스를 리팩토링 하고 성능 향상에 주력을 하는 버전이라고 생각했는데

좋은 기능들입니다.. 다만.. 좋은 기능들의 추가 이전에.. 기초가 탄탄해 졌으면 좋겠습니다.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사항들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아져야 겠습니다. 예를들면 속도개선같은 것들은 수년째 요청되는 사항인데.. CDN지원 같은 내용들은 분명 좋은 기능이지만.. 사용자들의 니즈가 높은 항목은 아닐겁니다.. 글로벌화에 성공하려면.. 기존보다 좀 더 높은 잣대로 XE를 개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잘되면 좋겠네요.

라던가

취지는 좋은데 자꾸 확장에만 신경쓰고 안정화는 뒷전인것 같아 걱정이기도 합니다.

라는 식의 리플이 달려서 조금 의아했습니다.
그래서 유심히 보던중, XE 개발팀의 공지가 눈높이가 개발자 입장에 맞춰져있지 않나.
혹은 개발자 입장이라고 해도, 최신의 트렌드를 이해하고있는 개발자에게 맞춰져있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뭐 공지를 굳이 샅샅히 뜯어볼 필요도 없이(길이 너무 장문이 될테니)
리플에서 지적한 CDN 의 경우를 보면 CDN 이야 말로 XE 속도 개선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게 됩니다.

XE 가 기본적으로 코어에 포함되어있는 js, css 의 파일양은 상당합니다.
1.5(branch) 에서는 minify 툴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 파일이 합쳐져서 압축됩니다만,

gzip 압축이 지원되지 않는 서버의 경우는, 200kb  이상의 다량의 js 파일과 css 파일이 전송됩니다.
이때 이 파일들이 전송되는 네트워크 지연은, 과도한 부하가 걸려있는 위젯이나 그런게 포함되어있지 않은 일반 게시판의
php 내부 실행시간보다도 높거나, 비등합니다.

또한 200kb 이상의 데이터가 캐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서버 설정의 경우,
(여전히 apache 를 쓰면서 mod_expire 가 제대로 지원되지 않는 호스팅도 존재합니다.)

매번 데이터가 오감으로써, 속도, 트래픽 면에서 심각한 저하가 있기 마련입니다.
또한, 국내 서버에 있는 사이트를 해외에서 접속할 경우도 영향을 미치게 되지요.

그래서 CDN 이 등장하게 된겁니다.
CDN 기술은, 그러한 스태틱 파일을 좀더 빨리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씨는 K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그는 www.net 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하려하는데
www.net 은 S 인터넷 망에 물려있습니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전송은
A -> K 망 -> S 망 -> www.net 서버 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지요,
상대적으로 S 망을 이용하는 B씨보다 네트워크 속도에 있어서 저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CDN 은, 그러한 파일의 빠른 전송을 위해서
K 인터넷 망에도 www.net 의 정적파일의 서빙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둠으로써,
A -> K망 -> CDN 서버 를 통해서 좀더 빠르게 억세스 할수 있게 만들어주는겁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해외로 나갈수록 점차 거쳐가는 라우터가 많은 상황에서 더욱 유용한데,
미국 접속자는 미국내 CDN
한국 접속자는 한국내 CDN 등으로 분산하게 되면 속도 향상에 큰 이득이 있지요.

결국, CDN 서비스는 정리하자면,
XE 사이트의 체감 로딩속도 향상과,
XE 사이트 사용자들의 소모 트래픽을 줄여주기 위한 서비스 입니다.

그런데, CDN 서비스를 하는데 왜 속도 개선은 안하고 CDN 을 하느냐 이야기가 나오는거지요.
이것은 XE 팀의 공지전달에서 1.5가 가는 방향을 사람들에게 이해받지 못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DN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적인 용어로 계획을 써놓는것보단,
속도 향상에 있어서 DB 쿼리 부분의 재 설계가 어떤 효용을 발휘하는지,
현재 루마니아 팀이 진행하고있는 새 xmlquery 가 무엇을 가져다 주는지

XE 개발팀이 좀 눈높이를 맞춰서 공지나 계획을 알려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 공지를 보고 아 XE 가 어떤 방향으로 가겠구나, 를 이해할수 있는 사람과
이해할수 없는 사람이 갈리는것은, 엔지니어적 마인드로 보면 이해하기 힘든데,
최근의 계속되는 게시판 논쟁을 보면, 보통의 엔지니어들은 그러한 부분을 놓치기 쉽지 않나 싶습니다.

글쓴이 제목 최종 글
파이델 에이폭스 CMS 오늘부터 사용하셔도되요. [5] 2016.06.02 by SimpleCode
파이델 가벼운 게시판이 필요해서 시작한 삽질... [21] 2016.06.02 by 파이델
카르마 이미지프로세스 2.0 업데이트 [10] file 2016.05.27 by 카르마
카르마 tackback module이 제거되었는데.... [5] file 2016.05.26 by 기진곰
씨엠에스개발자 XE3가 뻘짓인 이유..ㅋ [4] file 2016.05.25 by 닭장군
씨지크 Youtube 주소 입력하면 자동으로 iframe입력되는 애드온? [4] 2016.05.23 by 씨지크
BJ람보 누리고모듈 1.0.5 배포합니다.  
stone돌미 ie10이하 버전은 xe홈페이지 접속이 안되는군요.. [6] 2016.05.23 by stone돌미
Xiso angular.js 로 키워드 포함한 문장생성기 만들어보았습니다. file  
도라미 다올 CMS 1.0.2.0 정식버전을 배포합니다. [1] 2016.05.20 by 바구지
Xiso 쇼케이스가 추천순이었군요. [7] 2016.05.18 by SimpleCode
비공개닉네임 안녕하세요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4] 2016.05.18 by 우리아기
BJ람보 누리고 모듈 1.0.4 정식버전을 배포합니다. [3] 2016.05.17 by 똥꼬똥침
baosama 새 사용자 등록 페이지 수정 [13] file 2016.05.17 by baosama
Devkang 그누보드5-> xe 데이터 이전 툴 좀 만들어주세요 [1] 2016.05.16 by pentopen
고나리자 가입형 XE 어떻게 생각하세요? [7] 2016.05.13 by Xiso
銀童 DaumEditor For XE 베타 0.1.0 배포합니다. [122] file 2016.05.09 by pentopen
해피지영 XE3 설치같이 해보고 서로 도와가며 해보아요~! 강남 코워킹 스페이스 제안 (지방분 1박도...) [17] 2016.05.07 by 해피지영
늅늅이 기존 AJAXBOARD 애드온은 못 구하는건가요? [1] 2016.04.25 by HowtoXE
마이웹 음... 개발자포럼을 이슈톡톡이란 이름의 포럼으로 변경하는건 어떨까~요? [43] file 2016.04.24 by 알짜포크